학사안내

편성교과목

교과 과정 검색 조건
교과과정
학년/학기 이수구분 교과목번호 교과목명 학점 강의 실습(설계) 교과목개요
1/1학기 전선 4274129
교육사 (History of Education)
  • 학년/학기 : 1/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74129
  • 교과목명 : 교육사 (History of Education)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교육사"는 교육이라는 활동의 발자취를 통해서 인간과 공동체를 이해하는 데 목적이 있다. 교육사를 배움으로써, 교육제도와 교육사상의 역사에 담긴 앞선 세대의 고민을 이해하고, 그것이 어떻게 현실로 표현되었는지를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강좌는 교육사의 문제의식과 접근법을 다루고, 교육사에서 중요한 사실들과 사상들을 개괄함으로써, 학생들이 교육사를 이해하는 안목을 형성하도록 돕는다.

    • English

      "History of Education" aims at understanding human beings and community through the past of education. By learning the history of education, we can understand the concerns for teaching and learning of previous generations and the expressions in reality. This course will help students develop historical understanding by addressing the issues and approaches and outlining important facts and ideas in educational history.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교육사"는 교육이라는 활동의 발자취를 통해서 인간과 공동체를 이해하는 데 목적이 있다. 교육사를 배움으로써, 교육제도와 교육사상의 역사에 담긴 앞선 세대의 고민을 이해하고, 그것이 어떻게 현실로 표현되었는지를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강좌는 교육사의 문제의식과 접근법을 다루고, 교육사에서 중요한 사실들과 사상들을 개괄함으로써, 학생들이 교육사를 이해하는 안목을 형성하도록 돕는다.

  • English

    "History of Education" aims at understanding human beings and community through the past of education. By learning the history of education, we can understand the concerns for teaching and learning of previous generations and the expressions in reality. This course will help students develop historical understanding by addressing the issues and approaches and outlining important facts and ideas in educational history.

닫기
1/1학기 전선 4274131
교육사회학 (Sociology of Education)
  • 학년/학기 : 1/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74131
  • 교과목명 : 교육사회학 (Sociology of Education)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교육과 사회의 관계를 이해하는 데 필요한 국내외 이론, 개념, 연구결과, 실제를 탐구한다.

    • English

      This course explores domestic and international theories, concepts, findings, and practice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 and society.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교육과 사회의 관계를 이해하는 데 필요한 국내외 이론, 개념, 연구결과, 실제를 탐구한다.

  • English

    This course explores domestic and international theories, concepts, findings, and practice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 and society.

닫기
1/1학기 전선 4274991
진로탐색과꿈-설계 (Career Planning)
  • 학년/학기 : 1/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74991
  • 교과목명 : 진로탐색과꿈-설계 (Career Planning)
  • 학점-강의-실습(설계) : 1-1-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전공 관련하여 대학 및 학과 생활을 설계하는 코스이다.

    • English

      The course explores the academically oriented tradition of the university and introduces both the sources and the substance of life in the Department of Education.

    닫기
1 1 0 상세보기
  • 국문

    전공 관련하여 대학 및 학과 생활을 설계하는 코스이다.

  • English

    The course explores the academically oriented tradition of the university and introduces both the sources and the substance of life in the Department of Education.

닫기
1/2학기 전선 4274007
인간발달과교육 (Human Development and Education)
  • 학년/학기 : 1/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74007
  • 교과목명 : 인간발달과교육 (Human Development and Education)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인간발달의 기본원리를 이해한다. 청소년의 발달단계에 맞는 교육방법을 찾는다. 발달단계에 따른 지적, 정서적, 사회적 특성을 이해한다.

    • English

      The purpose of this course is to understand the basic principles of human development, to find a method of education that matches the developmental stage of adolescents, to understand the intellectual, emotional, and social characteristics of developmental stage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인간발달의 기본원리를 이해한다. 청소년의 발달단계에 맞는 교육방법을 찾는다. 발달단계에 따른 지적, 정서적, 사회적 특성을 이해한다.

  • English

    The purpose of this course is to understand the basic principles of human development, to find a method of education that matches the developmental stage of adolescents, to understand the intellectual, emotional, and social characteristics of developmental stages.

닫기
1/2학기 전선 4274097
세계의교육제도와동향 (Educational Systems and Trends in Global Age)
  • 학년/학기 : 1/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74097
  • 교과목명 : 세계의교육제도와동향 (Educational Systems and Trends in Global Age)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교육학과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우리나라 교육의 실제를 이해하는 데 필요한 입문 교과목으로, 세계 각국의 교육제도와 최근 동향을 비교교육학적 측면에서 고찰한다. 세계 교육의 전반적인 흐름을 이해함으로써, 우리나라 교육과 세계각국의 교육이 서로 영향을 주고 받으면서 발전하는 것을 이해한다. 이를 토대로 우리나라 교육제도의 현황과 문제점, 개선방안을 논의할 수 있는 기초지식을 쌓는다.

    • English

      This is an introductory course for students in the first year of education to understand the reality of Korea's education. This course examines the educational system and recent trends in the world from a comparative pedagogical perspective. Students understand the overall flow of world education and recognize that educations from around the world are developing by influencing each other. Based on this, the basic knowledge to discuss the current state of education system, its problems, and ways to improve is built.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교육학과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우리나라 교육의 실제를 이해하는 데 필요한 입문 교과목으로, 세계 각국의 교육제도와 최근 동향을 비교교육학적 측면에서 고찰한다. 세계 교육의 전반적인 흐름을 이해함으로써, 우리나라 교육과 세계각국의 교육이 서로 영향을 주고 받으면서 발전하는 것을 이해한다. 이를 토대로 우리나라 교육제도의 현황과 문제점, 개선방안을 논의할 수 있는 기초지식을 쌓는다.

  • English

    This is an introductory course for students in the first year of education to understand the reality of Korea's education. This course examines the educational system and recent trends in the world from a comparative pedagogical perspective. Students understand the overall flow of world education and recognize that educations from around the world are developing by influencing each other. Based on this, the basic knowledge to discuss the current state of education system, its problems, and ways to improve is built. 

닫기
1/2학기 전선 4274130
교육철학 (Philosophy of Education)
  • 학년/학기 : 1/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74130
  • 교과목명 : 교육철학 (Philosophy of Education)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교육철학"은 교육현상을 이해하거나 교육실천을 안내하는 개념들의 논리적 가정과 함의를 드러내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학생들은 교육철학을 배움으로써 교육의 개념을 가지며, 학습, 교수, 훈화, 도덕교육 등 다양한 교육현상을 구분하고 관련짓는 체계적이고 깊이있는 안목을 형성있을 것이다. 이 강좌는, 교육철학의 역사적 업적을 개괄하고, 주요한 질문들에 대한 직접 토론해 봄으로써, 학생들이 교육철학에 입문할 수 있도록 돕는다.

    • English

      The "philosophy of education" aims at revealing the logical assumptions and implications of the concepts that guide or understand educational phenomena. Students will have a concept of education by learning the philosophy of education, and they will form a systematic and in-depth view that distinguishes and correlates various educational phenomena such as learning, teaching, disciplining, and moral education. This course will outline the historical achievements and discuss the key questions of the philosophy of education.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교육철학"은 교육현상을 이해하거나 교육실천을 안내하는 개념들의 논리적 가정과 함의를 드러내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학생들은 교육철학을 배움으로써 교육의 개념을 가지며, 학습, 교수, 훈화, 도덕교육 등 다양한 교육현상을 구분하고 관련짓는 체계적이고 깊이있는 안목을 형성있을 것이다. 이 강좌는, 교육철학의 역사적 업적을 개괄하고, 주요한 질문들에 대한 직접 토론해 봄으로써, 학생들이 교육철학에 입문할 수 있도록 돕는다.

  • English

    The "philosophy of education" aims at revealing the logical assumptions and implications of the concepts that guide or understand educational phenomena. Students will have a concept of education by learning the philosophy of education, and they will form a systematic and in-depth view that distinguishes and correlates various educational phenomena such as learning, teaching, disciplining, and moral education. This course will outline the historical achievements and discuss the key questions of the philosophy of education.

닫기
2/1학기 전선 4274066
평생교육방법론 (Teaching Methods in Life-long Education)
  • 학년/학기 : 2/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74066
  • 교과목명 : 평생교육방법론 (Teaching Methods in Life-long Education)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평생교육 영역에서 학습자들을 위한 효과적인 교육 및 학습방법을 설계하고 활용할 수 있는 필요한 지식, 기술 및 방법을 습득한다.

    • English

      Students acquire necessary knowledge, skills, and methods to design and utilize effective education and learning methods for learners in the area of ??continuing education.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평생교육 영역에서 학습자들을 위한 효과적인 교육 및 학습방법을 설계하고 활용할 수 있는 필요한 지식, 기술 및 방법을 습득한다.

  • English

    Students acquire necessary knowledge, skills, and methods to design and utilize effective education and learning methods for learners in the area of ??continuing education.

닫기
2/1학기 전선 4274088
교육공학 (Educational Technology)
  • 학년/학기 : 2/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74088
  • 교과목명 : 교육공학 (Educational Technology)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교육공학은 교육의 목적을 효율적으로 달성하는 과정에 관심이 있다. 따라서 적정한 교육의 과정과 자원, 매체를 과학적 이론에 근거하여 설계하고, 실천 및 관리하는 능력을 기른다. 이를 위하여 연구의 개관, 사례분석, 매체선정 및 사용과 평가 과정을 직접교수법, 협동학습 과정을 통해 학습한다. 학습자들은 이 과목을 마칠 때쯤 수업목표와 학습자에 적절한 학습매체를 선정 또는 개발하고, 학습자를 참여시켜 수업목표를 효율적으로 달성할 수 있게될 것이다.

    • English

      Educational technology explores ways to deliver messages effectively. For this, students study characteristics of the mediams and devices and plan how to use them in teaching by way of direct instruction and cooperative learning. By the end of course, students will be able to select media to reach the goals effectively and evaluate its usage.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교육공학은 교육의 목적을 효율적으로 달성하는 과정에 관심이 있다. 따라서 적정한 교육의 과정과 자원, 매체를 과학적 이론에 근거하여 설계하고, 실천 및 관리하는 능력을 기른다. 이를 위하여 연구의 개관, 사례분석, 매체선정 및 사용과 평가 과정을 직접교수법, 협동학습 과정을 통해 학습한다. 학습자들은 이 과목을 마칠 때쯤 수업목표와 학습자에 적절한 학습매체를 선정 또는 개발하고, 학습자를 참여시켜 수업목표를 효율적으로 달성할 수 있게될 것이다.

  • English

    Educational technology explores ways to deliver messages effectively. For this, students study characteristics of the mediams and devices and plan how to use them in teaching by way of direct instruction and cooperative learning. By the end of course, students will be able to select media to reach the goals effectively and evaluate its usage.

닫기
2/1학기 전선 4274098
학습심리학 (Psychology of Learning)
  • 학년/학기 : 2/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74098
  • 교과목명 : 학습심리학 (Psychology of Learning)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이 강좌는 인간학습과 관련된 심리학적 이론을 다루고 이들을 교육장면에 적용하기 위한 것이다. 상당수의 이론들은 행동주의 계열 학습이론으로 강화의 원리를 다루며, 사회적 구성주의 이론을 통하여 학습에서의 사회적 상호작용의 원리를 다룬다. 그리고 학습동기와 관련된 학습이론들은 학습상황에서의 개인차 문제를 집중적으로 다룬다.

    • English

      This chouse covers the various psychological theories that relate with?learning and applies them to the educational settings. Some take on a more behaviorist approach which focuses on inputs and reinforcements.?Some psychological approaches, such as?social constructivism, focus more on one's interaction with the environment and with others.?Other theories, such as those related to?motivation, like the growth mindset, focus more on the individual.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이 강좌는 인간학습과 관련된 심리학적 이론을 다루고 이들을 교육장면에 적용하기 위한 것이다. 상당수의 이론들은 행동주의 계열 학습이론으로 강화의 원리를 다루며, 사회적 구성주의 이론을 통하여 학습에서의 사회적 상호작용의 원리를 다룬다. 그리고 학습동기와 관련된 학습이론들은 학습상황에서의 개인차 문제를 집중적으로 다룬다.

  • English

    This chouse covers the various psychological theories that relate with?learning and applies them to the educational settings. Some take on a more behaviorist approach which focuses on inputs and reinforcements.?Some psychological approaches, such as?social constructivism, focus more on one's interaction with the environment and with others.?Other theories, such as those related to?motivation, like the growth mindset, focus more on the individual.

닫기
2/1학기 전선 4274099
교육동기론 (Theories of Motivation in Education)
  • 학년/학기 : 2/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74099
  • 교과목명 : 교육동기론 (Theories of Motivation in Education)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교육과 학습행위를 추동하는 교육동기를 교육적으로 유익하게 활용하기 위한 방안들을 모색한다. 교육동기를 학습자의 학습동기, 학부모의 자녀교육동기, 교사의 직무동기 등으로 구분하여 다룬다. 예비교사들이 자신의 교육동기와 교육수요자들(학생, 학부모)의 동기를 이해하고,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함으로써 교육의 효과성을 극대화하도록 한다.

    • English

      This course designed to investigate ways to use educational motivation that drives education and learning behavior. The educational motivation is divided into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parents' motivation to educate their child, and teachers' motivation to teach. To maximize the effectiveness of the class, the pre-service teachers understand the motivations of themselves and the motivations of their consumers (students and parents) as well, and find ways to make efficient use of them.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교육과 학습행위를 추동하는 교육동기를 교육적으로 유익하게 활용하기 위한 방안들을 모색한다. 교육동기를 학습자의 학습동기, 학부모의 자녀교육동기, 교사의 직무동기 등으로 구분하여 다룬다. 예비교사들이 자신의 교육동기와 교육수요자들(학생, 학부모)의 동기를 이해하고,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함으로써 교육의 효과성을 극대화하도록 한다.

  • English

    This course designed to investigate ways to use educational motivation that drives education and learning behavior. The educational motivation is divided into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parents' motivation to educate their child, and teachers' motivation to teach. To maximize the effectiveness of the class, the pre-service teachers understand the motivations of themselves and the motivations of their consumers (students and parents) as well, and find ways to make efficient use of them.

닫기
2/1학기 전선 4274111
교육통계의기초 (Introduction to Educational Statistics)
  • 학년/학기 : 2/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74111
  • 교과목명 : 교육통계의기초 (Introduction to Educational Statistics)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본 강좌는 교육현상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는데 필요한 개념과 원리를 이해하고 실제 자료를 분석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서 교육통계의 기초개념을 학습하고, 관련 통계 프로그램으로 실제 자료를 분석하는 실습을 병행한다. 이를 통해 교육통계의 이론과 통계 프로그램을 학습하고, 실제 교육현장에서 수집되는 자료에 대한 통찰력을 기를 수 있다.

    • English

      This course aims to understand the concepts and principles necessary to collect and analyze data on educational phenomena and to develop the ability to analyze actual data. For this, students learn the basic concepts of educational statistics and practice the analysis of actual data with related statistical programs. Through this, students can study theories and statistical programs of educational statistics and gain insights into the data collected at actual educational site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본 강좌는 교육현상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는데 필요한 개념과 원리를 이해하고 실제 자료를 분석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서 교육통계의 기초개념을 학습하고, 관련 통계 프로그램으로 실제 자료를 분석하는 실습을 병행한다. 이를 통해 교육통계의 이론과 통계 프로그램을 학습하고, 실제 교육현장에서 수집되는 자료에 대한 통찰력을 기를 수 있다.

  • English

    This course aims to understand the concepts and principles necessary to collect and analyze data on educational phenomena and to develop the ability to analyze actual data. For this, students learn the basic concepts of educational statistics and practice the analysis of actual data with related statistical programs. Through this, students can study theories and statistical programs of educational statistics and gain insights into the data collected at actual educational sites.

닫기
2/1학기 전선 4274120
교육복지론 (Educational Welfare)
  • 학년/학기 : 2/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74120
  • 교과목명 : 교육복지론 (Educational Welfare)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교육과 복지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중등교육 현장의 복지 관련 문제 해결을 위한 대안을 모색한다.

    • English

      The course explores alternatives to addressing welfare-related issues in secondary education, based on an understanding of education and well-being.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교육과 복지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중등교육 현장의 복지 관련 문제 해결을 위한 대안을 모색한다.

  • English

    The course explores alternatives to addressing welfare-related issues in secondary education, based on an understanding of education and well-being.

닫기
2/1학기 전선 4274146
대학이란무엇인가? (What Is University?)
  • 학년/학기 : 2/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74146
  • 교과목명 : 대학이란무엇인가? (What Is University?)
  • 학점-강의-실습(설계) : 2-2-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현대 대학의 모태인 중세대학의 탄생과 발전 과정을 추적하면서 대학이라는 학문 공동체의 본질을 파헤치고 그 성격을 탐구한다. 21세기 대학의 존립 이유에 대한 역사철학적 해명을 구하는 강좌이다.

    • English

      The course explores the academic nature of universities while tracking the birth and development process of medieval universities, the mother of modern universities. It is a course that seeks a historical philosophical explanation of the reason for the existence of universities in the 21st century.

    닫기
2 2 0 상세보기
  • 국문

    현대 대학의 모태인 중세대학의 탄생과 발전 과정을 추적하면서 대학이라는 학문 공동체의 본질을 파헤치고 그 성격을 탐구한다. 21세기 대학의 존립 이유에 대한 역사철학적 해명을 구하는 강좌이다.

  • English

    The course explores the academic nature of universities while tracking the birth and development process of medieval universities, the mother of modern universities. It is a course that seeks a historical philosophical explanation of the reason for the existence of universities in the 21st century.

닫기
2/2학기 전선 4274061
평생교육론 (Life-long Education)
  • 학년/학기 : 2/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74061
  • 교과목명 : 평생교육론 (Life-long Education)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평생교육의 이념에 입각한 학교 외 교육의 필요성과 기본방향을 밝히고 이에 관련되는 실천의 방안을 모색한다.

    • English

      This course will identify the necessity and basic direction of out-of-school education based on the philosophy of lifelong education, and seek ways to practice it.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평생교육의 이념에 입각한 학교 외 교육의 필요성과 기본방향을 밝히고 이에 관련되는 실천의 방안을 모색한다.

  • English

    This course will identify the necessity and basic direction of out-of-school education based on the philosophy of lifelong education, and seek ways to practice it.

닫기
2/2학기 전선 4274087
교수설계론 (Instructional Theories)
  • 학년/학기 : 2/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74087
  • 교과목명 : 교수설계론 (Instructional Theories)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교수설계 과목은 가르치는 방법을 배우는 기초과목으로서 수업설계의 과정과 각 단계에서 고려할 원리들을 이해하고, 이를 활용하여 수업을 설계할 수 있게 하는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수업계획 과정에서 발생하는 주요 질문과 이에 관한 연구결과, 즉, 교수학습이론을 직접교수법, 협동학습, 거꾸로 수업의 방법을 통해 학습한다. 이를 통하여 예비교사들은 학습자 특성, 목표의 종류, 환경, 교수자 특성을 고려한 수업방법을 선택하여 차시 수업계획을 할 수 있게 될 것이다.

    • English

      Designing instruction based on the principles of teaching and learning is the goal of this course. For this, students study concepts and principles of teaching and learning concerning objectives, learners, educational environment, teaching methods by way of direct instruction, cooperative learning, and backward instruction. Students will be able to design instruction plan considering learner, objective, environment, and teaching model.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교수설계 과목은 가르치는 방법을 배우는 기초과목으로서 수업설계의 과정과 각 단계에서 고려할 원리들을 이해하고, 이를 활용하여 수업을 설계할 수 있게 하는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수업계획 과정에서 발생하는 주요 질문과 이에 관한 연구결과, 즉, 교수학습이론을 직접교수법, 협동학습, 거꾸로 수업의 방법을 통해 학습한다. 이를 통하여 예비교사들은 학습자 특성, 목표의 종류, 환경, 교수자 특성을 고려한 수업방법을 선택하여 차시 수업계획을 할 수 있게 될 것이다.

  • English

    Designing instruction based on the principles of teaching and learning is the goal of this course. For this, students study concepts and principles of teaching and learning concerning objectives, learners, educational environment, teaching methods by way of direct instruction, cooperative learning, and backward instruction. Students will be able to design instruction plan considering learner, objective, environment, and teaching model.

닫기
2/2학기 전선 4274096
청소년교육론 (Education of Youth)
  • 학년/학기 : 2/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74096
  • 교과목명 : 청소년교육론 (Education of Youth)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청소년의 올바른 이해와 지도를 위해 청소년의 성장과 발달, 생활환경, 청소년문제, 청소년문화, 청소년 심리, 청소년정책 등 청소년교육과 관련된 내용을 포괄적으로 다룬다. 이를 토대로 청소년을 지도하기 위한 실제적인 교육처장을 구안한다.

    • English

      This course covers comprehensive contents related to youth education, including adolescent growth and development, living environment, youth issues and culture, adolescent psychology and policies for youth to understand and guide youth appropriately. Based on this, students in this class plan a practical director of education to guide youth.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청소년의 올바른 이해와 지도를 위해 청소년의 성장과 발달, 생활환경, 청소년문제, 청소년문화, 청소년 심리, 청소년정책 등 청소년교육과 관련된 내용을 포괄적으로 다룬다. 이를 토대로 청소년을 지도하기 위한 실제적인 교육처장을 구안한다.

  • English

    This course covers comprehensive contents related to youth education, including adolescent growth and development, living environment, youth issues and culture, adolescent psychology and policies for youth to understand and guide youth appropriately. Based on this, students in this class plan a practical director of education to guide youth.

닫기
2/2학기 전선 4274132
학교상담론 (School Counseling)
  • 학년/학기 : 2/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74132
  • 교과목명 : 학교상담론 (School Counseling)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본 강좌는 중등학교 학생의 이해를 높이고 상담의 역량을 개발하기 위해 학교상담의 이론과 실제에 관한 기초 지식을 습득하고 상담 준전문가로서의 소양을 기르는 데 목표가 있다. 이를 위해서 본 과목은 상담과 생활지도의 역사, 이론적 배경, 학업, 진로, 인간관계, 정신건강 등의 문제 영역별 상담의 실제적 방법을 학습한다. 이를 통해서 학생들은 예비교사로서 인성적 그리고 전문적 자질을 함양할 수 있다.

    • English

      This course aims to cultivate counseling competencies as paraprofessionals in secondary schools by enhancing the understandings of basic knowledge and skills in the theory and practice of school counseling. In the course, students will learn history of school counseling and guidance, theoretical background of counseling, and practical counseling methods across the students problem areas including academic, career, interpersonal concerns and mental health. This course enables students to develop their personal qualities and professional guidance skills as preliminary teacher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본 강좌는 중등학교 학생의 이해를 높이고 상담의 역량을 개발하기 위해 학교상담의 이론과 실제에 관한 기초 지식을 습득하고 상담 준전문가로서의 소양을 기르는 데 목표가 있다. 이를 위해서 본 과목은 상담과 생활지도의 역사, 이론적 배경, 학업, 진로, 인간관계, 정신건강 등의 문제 영역별 상담의 실제적 방법을 학습한다. 이를 통해서 학생들은 예비교사로서 인성적 그리고 전문적 자질을 함양할 수 있다.

  • English

    This course aims to cultivate counseling competencies as paraprofessionals in secondary schools by enhancing the understandings of basic knowledge and skills in the theory and practice of school counseling. In the course, students will learn history of school counseling and guidance, theoretical background of counseling, and practical counseling methods across the students problem areas including academic, career, interpersonal concerns and mental health. This course enables students to develop their personal qualities and professional guidance skills as preliminary teachers.

닫기
2/2학기 전필 4274136
교육학교육론 (Teaching the Science of Education)
  • 학년/학기 : 2/2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274136
  • 교과목명 : 교육학교육론 (Teaching the Science of Education)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이 과목은 예비교사로서 중등학교 학습내용과 연계하여 교과교육학의 일반적 성격과 기본 구조를 이해함으로써 교육학을 교과로서 다룰 때 이해되어야 하는 교육학의 성격을 정립하고 학급 실제에서 교육학을 교과과정으로 선정, 조직할 수 있는 능력과 비판적 관점을 키우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교과교육의 주요 개념, 교육과정 개발 및 설계, 교수학습방법과 평가 등을 이해하고, 국가교육과정 및 교과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교과, 학습자, 교육상황 등을 고려한 단원과 수업을 설계하고 운영해 본다. 특히, 단원계획, 수업계획, 수업시연 등을 함께 연습하고 탐구하는 과정과 자기성찰지 작성 작업이 이루어진다. 이 과정에서 학생들은 통합교육과정 운영과 학생 참여 중심 수업의 개선방안을 탐색할 수 있는 창의적이고 협력적인 교육 전문가로서의 수업역량을 함양할 수 있다.

    • English

      This course is a study of Education as the subject-matter in the secondary school instruction. The purpose of the course is to design and develop a teaching-learning plan based on understanding and critical analysis of the revised 2015 curriculum. It covers issues of teaching and learning and the process of transforming subject-matter knowledge into teaching materials and instructional strategies. Students will overview theoretical principles and field practices involved in the curriculum development and instruction; create and test session and lesson plans for microteaching, simulation, as well as concept and skill acquisition b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subject-matter, learners, and educational circumstances; mutually assess their teaching plan and microteaching with self-reflection papers; and become a creative and cooperative expert who can improve the implementation of integrated curriculum and resolve obstacles to student-centered instruction.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이 과목은 예비교사로서 중등학교 학습내용과 연계하여 교과교육학의 일반적 성격과 기본 구조를 이해함으로써 교육학을 교과로서 다룰 때 이해되어야 하는 교육학의 성격을 정립하고 학급 실제에서 교육학을 교과과정으로 선정, 조직할 수 있는 능력과 비판적 관점을 키우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교과교육의 주요 개념, 교육과정 개발 및 설계, 교수학습방법과 평가 등을 이해하고, 국가교육과정 및 교과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교과, 학습자, 교육상황 등을 고려한 단원과 수업을 설계하고 운영해 본다. 특히, 단원계획, 수업계획, 수업시연 등을 함께 연습하고 탐구하는 과정과 자기성찰지 작성 작업이 이루어진다. 이 과정에서 학생들은 통합교육과정 운영과 학생 참여 중심 수업의 개선방안을 탐색할 수 있는 창의적이고 협력적인 교육 전문가로서의 수업역량을 함양할 수 있다.

  • English

    This course is a study of Education as the subject-matter in the secondary school instruction. The purpose of the course is to design and develop a teaching-learning plan based on understanding and critical analysis of the revised 2015 curriculum. It covers issues of teaching and learning and the process of transforming subject-matter knowledge into teaching materials and instructional strategies. Students will overview theoretical principles and field practices involved in the curriculum development and instruction; create and test session and lesson plans for microteaching, simulation, as well as concept and skill acquisition b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subject-matter, learners, and educational circumstances; mutually assess their teaching plan and microteaching with self-reflection papers; and become a creative and cooperative expert who can improve the implementation of integrated curriculum and resolve obstacles to student-centered instruction.

닫기
2/2학기 전선 4274147
교육고전산책 (A Sketch of Educational Classics)
  • 학년/학기 : 2/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74147
  • 교과목명 : 교육고전산책 (A Sketch of Educational Classics)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세상에 회자되는 교육고전들을 소개하는 강좌이다. 고대 그리스와 로마로부터 시작해 중세를 거쳐 르네상스와 종교개혁, 이후 근대에 이르기까지 ‘고전’이라는 꼬리표가 따라붙은 저작들을 차례대로 공부한다.

    • English

      It is a course that introduces educational classics that are talked about in the world. Starting from ancient Greece and Rome, through the Middle Ages, the Renaissance and Reformation, and later modern times, it studies some works with the label "classical."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세상에 회자되는 교육고전들을 소개하는 강좌이다. 고대 그리스와 로마로부터 시작해 중세를 거쳐 르네상스와 종교개혁, 이후 근대에 이르기까지 ‘고전’이라는 꼬리표가 따라붙은 저작들을 차례대로 공부한다.

  • English

    It is a course that introduces educational classics that are talked about in the world. Starting from ancient Greece and Rome, through the Middle Ages, the Renaissance and Reformation, and later modern times, it studies some works with the label "classical."

닫기
3/1학기 전필 4274024
교육학교재연구및지도법 (Instructional Planning in Education)
  • 학년/학기 : 3/1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274024
  • 교과목명 : 교육학교재연구및지도법 (Instructional Planning in Education)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교육학교재연구 및 지도법은 ‘교육학’ 과목의 주요 목표와 내용을 분석하고, 그것을 효율적으로 가르치는데 필요한 수업방법을 고찰하는 과목이다. 따라서 목표 분석방법, 수업설계의 원리를 개관하고, 목표별 주요 수업모형을 직접교수법, 협동학습, 마이크로티칭 방법을 통해 학습한다. 이 수업을 통하여 학습자들은 학습자 특성, 학습목표를 고려하여 적합한 수업을 계획하고, 수업을 시연할 수 있게 될 것이다.

    • English

      The goal of this course is to analyze the content and find the objectives and appropriate teaching methods in the subject of education. This is done following the steps of instructional design. By the end of the course, students are expected to make a lesson plan in any of the subject area.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교육학교재연구 및 지도법은 ‘교육학’ 과목의 주요 목표와 내용을 분석하고, 그것을 효율적으로 가르치는데 필요한 수업방법을 고찰하는 과목이다. 따라서 목표 분석방법, 수업설계의 원리를 개관하고, 목표별 주요 수업모형을 직접교수법, 협동학습, 마이크로티칭 방법을 통해 학습한다. 이 수업을 통하여 학습자들은 학습자 특성, 학습목표를 고려하여 적합한 수업을 계획하고, 수업을 시연할 수 있게 될 것이다.

  • English

    The goal of this course is to analyze the content and find the objectives and appropriate teaching methods in the subject of education. This is done following the steps of instructional design. By the end of the course, students are expected to make a lesson plan in any of the subject area.

닫기
3/1학기 전선 4274067
평생교육프로그램개발론 (Program Development in Life-long Education)
  • 학년/학기 : 3/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74067
  • 교과목명 : 평생교육프로그램개발론 (Program Development in Life-long Education)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다양한 조직에서 성인 교육훈련 프로그램 개발의 제반 이론과 기술을 탐구한다. 요구분석, 목표수립, 설계, 평가 등을 포함하며 실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활용 방안을 연구한다.

    • English

      This course explores the theory and skills of adult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 development in various organizations. Those includes requirements analysis, goal setting, design, and evaluation, and develops a practical program to study its application.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다양한 조직에서 성인 교육훈련 프로그램 개발의 제반 이론과 기술을 탐구한다. 요구분석, 목표수립, 설계, 평가 등을 포함하며 실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활용 방안을 연구한다.

  • English

    This course explores the theory and skills of adult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 development in various organizations. Those includes requirements analysis, goal setting, design, and evaluation, and develops a practical program to study its application.

닫기
3/1학기 전선 4274082
학급경영론 (Classroom Management)
  • 학년/학기 : 3/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74082
  • 교과목명 : 학급경영론 (Classroom Management)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이 교과목은, 담임교사로서 학급을 관리 운영하는 데 필요한 이론을 배우고 이를 토대로 실천역량을 키우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학급경영기법을 이해하고, 학급경영 실무(NEIS시스템 활용 등)를 익히며, 이를 토대로 연간 학급경영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 English

      This course, as a homeroom teacher, aims to learn the theories necessary to manage and operate classes and build practical skills based on them. Students can understand class management techniques, learn class management practices (using the NEIS system, etc.), and build an annual class management plan based on thi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이 교과목은, 담임교사로서 학급을 관리 운영하는 데 필요한 이론을 배우고 이를 토대로 실천역량을 키우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학급경영기법을 이해하고, 학급경영 실무(NEIS시스템 활용 등)를 익히며, 이를 토대로 연간 학급경영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 English

    This course, as a homeroom teacher, aims to learn the theories necessary to manage and operate classes and build practical skills based on them. Students can understand class management techniques, learn class management practices (using the NEIS system, etc.), and build an annual class management plan based on this.

닫기
3/1학기 전선 4274102
청소년상담의이론과실제 (Theories and Practices of Counseling for Adolescents)
  • 학년/학기 : 3/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74102
  • 교과목명 : 청소년상담의이론과실제 (Theories and Practices of Counseling for Adolescents)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청소년 상담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학생 지도 및 상담 역량을 강화하는데 목적을 두고, 청소년의 특징, 청소년 문제, 상담과정, 상담기법, 상담이론을 학습한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추후 학교 현장에서 학생 지도 및 상담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 English

      This course aims to strengthen student guidance and counseling capabilities based on an understanding of youth counseling. To this end, students will learn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s, youth problems, counseling processes, counseling techniques and counseling theories. This will eventually help them guide their future students well and provide effective counseling.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청소년 상담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학생 지도 및 상담 역량을 강화하는데 목적을 두고, 청소년의 특징, 청소년 문제, 상담과정, 상담기법, 상담이론을 학습한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추후 학교 현장에서 학생 지도 및 상담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 English

    This course aims to strengthen student guidance and counseling capabilities based on an understanding of youth counseling. To this end, students will learn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s, youth problems, counseling processes, counseling techniques and counseling theories. This will eventually help them guide their future students well and provide effective counseling.

닫기
3/1학기 전선 4274121
교육과정 (Curriculum)
  • 학년/학기 : 3/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74121
  • 교과목명 : 교육과정 (Curriculum)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이 과목은 교육과정 이론과 실제에 대한 탐구를 통해 한국의 교육과정을 둘러싼 현안 및 쟁점을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그 해법을 창의적, 협력적으로 탐구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하는 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본 수업에서는 교육과정의 개념, 유형, 개발 및 실행에 대한 다양한 관점과 이론을 비판적으로 고찰한다. 이에 기초하여 한국의 국가교육과정 변천을 개괄적으로 이해하고 국가교육과정의 성격과 역할, 학교 수준 교육과정의 개발과 운영, 진로직업교육과정, 창의적 체험활동, 다문화교육과정 운영 등과 관련된 현안을 융복합 매체 활용학습, 발표 및 토론, 협동학습, 학교 현장과 연계한 문제해결활동 등을 통해 탐구한다. 이 과정에서 학생들은 교육과정의 이론에 기초하여 학교 현장의 관련 문제들을 폭넓은 관점으로 조망하고, 창의적·협력적으로 개선할 방안을 탐색할 수 있다.

    • English

      This course will introduce students to the field of curriculum studies. It seeks to cultivate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and a critical analysis of curriculum studies. To do this, this course introduces basic concepts and theories of curriculum studies, curriculum planning, and implementation. It also provides the student with opportunities to (1) investigate the history of curriculum studies and national curriculum reform policies; (2) explore a variety of conversations currently taking place among curriculum study scholars; (3) critically examine controversial issues related to the field of curriculum studies, such as school curriculum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the career and occupation curriculum, creative-experiential activities, and multicultural education; (4) become creative and cooperative experts in the field of education by forming deep understanding on the nature of education and having critical perspectives on school practice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이 과목은 교육과정 이론과 실제에 대한 탐구를 통해 한국의 교육과정을 둘러싼 현안 및 쟁점을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그 해법을 창의적, 협력적으로 탐구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하는 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본 수업에서는 교육과정의 개념, 유형, 개발 및 실행에 대한 다양한 관점과 이론을 비판적으로 고찰한다. 이에 기초하여 한국의 국가교육과정 변천을 개괄적으로 이해하고 국가교육과정의 성격과 역할, 학교 수준 교육과정의 개발과 운영, 진로직업교육과정, 창의적 체험활동, 다문화교육과정 운영 등과 관련된 현안을 융복합 매체 활용학습, 발표 및 토론, 협동학습, 학교 현장과 연계한 문제해결활동 등을 통해 탐구한다. 이 과정에서 학생들은 교육과정의 이론에 기초하여 학교 현장의 관련 문제들을 폭넓은 관점으로 조망하고, 창의적·협력적으로 개선할 방안을 탐색할 수 있다.

  • English

    This course will introduce students to the field of curriculum studies. It seeks to cultivate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and a critical analysis of curriculum studies. To do this, this course introduces basic concepts and theories of curriculum studies, curriculum planning, and implementation. It also provides the student with opportunities to (1) investigate the history of curriculum studies and national curriculum reform policies; (2) explore a variety of conversations currently taking place among curriculum study scholars; (3) critically examine controversial issues related to the field of curriculum studies, such as school curriculum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the career and occupation curriculum, creative-experiential activities, and multicultural education; (4) become creative and cooperative experts in the field of education by forming deep understanding on the nature of education and having critical perspectives on school practices.

닫기
3/1학기 전선 4274150
성인학습및상담론 (Counseling for Adult Learners)
  • 학년/학기 : 3/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74150
  • 교과목명 : 성인학습및상담론 (Counseling for Adult Learners)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본 강좌는 평생교육사 양성 과정의 하나로 성인학습에 관한 이론과 기초 지식을 쌓아 이를 바탕으로 학습 상담을 진행할 수 있는 상담 실무 능력을 함양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특히, 학생들은 성인학습의 목표인 자기-조절 학습 능력을 배양하기 위한 다양한 학습 전략을 자신에게 적용하여 성인학습 상담에 관한 이론적 지식을 체험적 지식으로 전환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강좌는 강의 전반부에는 평생학습의 관점에서 성인학습의 이해를 향상시키기 위한 이론을 배우고 후반부에서는 성인학습자의 자기-조절 학습 능력 향상을 위한 학습 전략과 상담 개입의 실제에 대해 학습한다. 이를 통해서 평생교육사의 학습 상담 직무 역량을 개발할 수 있다.

    • English

      This course focuses on the development of helping skills, which will lead to increase effectiveness as a lifelong educator. The course is designed to examine both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aspects of counseling adults. Thus, this course is comprised of two part. The first part focuses on understanding of adult learning based on developmental and learning theory for adult. The second part aims to improve practical competency for helping and counseling of adult learners. Hills's helping skill model will be examined and the basic helping skills will be reviewed and practiced. Studenst can develope the learning conseling competerncy of lifelong educator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본 강좌는 평생교육사 양성 과정의 하나로 성인학습에 관한 이론과 기초 지식을 쌓아 이를 바탕으로 학습 상담을 진행할 수 있는 상담 실무 능력을 함양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특히, 학생들은 성인학습의 목표인 자기-조절 학습 능력을 배양하기 위한 다양한 학습 전략을 자신에게 적용하여 성인학습 상담에 관한 이론적 지식을 체험적 지식으로 전환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강좌는 강의 전반부에는 평생학습의 관점에서 성인학습의 이해를 향상시키기 위한 이론을 배우고 후반부에서는 성인학습자의 자기-조절 학습 능력 향상을 위한 학습 전략과 상담 개입의 실제에 대해 학습한다. 이를 통해서 평생교육사의 학습 상담 직무 역량을 개발할 수 있다.

  • English

    This course focuses on the development of helping skills, which will lead to increase effectiveness as a lifelong educator. The course is designed to examine both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aspects of counseling adults. Thus, this course is comprised of two part. The first part focuses on understanding of adult learning based on developmental and learning theory for adult. The second part aims to improve practical competency for helping and counseling of adult learners. Hills's helping skill model will be examined and the basic helping skills will be reviewed and practiced. Studenst can develope the learning conseling competerncy of lifelong educators.

닫기
3/2학기 전선 4274064
평생교육경영학 (Management of Life-long Education)
  • 학년/학기 : 3/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74064
  • 교과목명 : 평생교육경영학 (Management of Life-long Education)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평생교육 기관의 경영적 관점에서 발생하는 교육의 실제를 살펴보고 교육의 기획, 마케팅, 실행, 평가 등의 운영원리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킨다.

    • English

      This course examines the reality of education that arises from the managerial perspective of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and improves understanding of the principles of operation such as planning, marketing,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education.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평생교육 기관의 경영적 관점에서 발생하는 교육의 실제를 살펴보고 교육의 기획, 마케팅, 실행, 평가 등의 운영원리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킨다.

  • English

    This course examines the reality of education that arises from the managerial perspective of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and improves understanding of the principles of operation such as planning, marketing,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education.

닫기
3/2학기 전선 4274105
청소년심리학 (Psychology of Adolescence)
  • 학년/학기 : 3/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74105
  • 교과목명 : 청소년심리학 (Psychology of Adolescence)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청소년기의 발달 상태와 이에 따른 심리적 특성을 조명한다. 청소년기의 성, 자아정체성, 자아개념, 사회성 발달에서의 특징 등을 다룬다.

    • English

      This course examines the developmental status in adolescence and it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explores the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 sex, self-identity, self-concept, and social development etc.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청소년기의 발달 상태와 이에 따른 심리적 특성을 조명한다. 청소년기의 성, 자아정체성, 자아개념, 사회성 발달에서의 특징 등을 다룬다.

  • English

    This course examines the developmental status in adolescence and it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explores the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 sex, self-identity, self-concept, and social development etc.

닫기
3/2학기 전선 4274122
시민교육론 (Citizenship Education)
  • 학년/학기 : 3/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74122
  • 교과목명 : 시민교육론 (Citizenship Education)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평생 교육론적 관점에서 현대 사회가 요구하는 시민의 모습과 그 구체적인 교육 방안에 대하여 탐구한다.

    • English

      This course explores the characteristics of citizens and their specific educational options in the context of lifelong pedagogy.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평생 교육론적 관점에서 현대 사회가 요구하는 시민의 모습과 그 구체적인 교육 방안에 대하여 탐구한다.

  • English

    This course explores the characteristics of citizens and their specific educational options in the context of lifelong pedagogy.

닫기
3/2학기 전선 4274127
교육평가 (Educational Theory and Practice in Evaluation)
  • 학년/학기 : 3/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74127
  • 교과목명 : 교육평가 (Educational Theory and Practice in Evaluation)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본 강좌는 다양한 교육적 맥락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교육평가의 개념을 익히고, 실제 교육현장에서 이를 적용할 수 있는 지식과 안목을 기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하여 교육평가 분야의 최근 이슈에서부터 다양한 맥락에서 실시되고 있는 교육평가의 유형별 특징, 신뢰도와 타당도, 문항 제작 및 분석이론, 수행평가 등에 관해 학습할 것이다. 또한 본 강좌에서는 학생들이 강좌를 통하여 습득한 지식과 기술을 실제 맥락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이론과 실습을 병행하여 진행한다. 특히 학생중심평가와 과정중심평가에 초점을 두고, 평가제작 과정에 대한 이론과 실습을 집중적으로 진행할 예정이다. 그리고 교육학 전공자로서, 다양한 교육적 이슈에 대해 의견을 교환할 수 있는 토론과 글쓰기도 병행한다. 이를 통해서 학교현장이나 관련된 분야에서 교육평가의 전문가로서의 실제적 능력을 함양할 수 있다.

    • English

      This course aims to learn the concept of education evaluation in various educational contexts and to develop knowledge and insights that can be applied in the actual educational field. For this, students learn various theories in the field of evaluation and measurement, includ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of education evaluation, reliability and validity, and item development, analytic theory, performance evaluation, etc. In addition, this course combines theory and practice so that students can apply the knowledge and skills acquired through the course in a practical context. In particular, it will focus on student-centered and process-based assessments, and will focus on theory and practice on the assessment production process. Also, as an pedagogical major, there is also discussion and writing to exchange opinions on various educational issues.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cultivate practical ability as an expert in education evaluation in the school field or related field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본 강좌는 다양한 교육적 맥락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교육평가의 개념을 익히고, 실제 교육현장에서 이를 적용할 수 있는 지식과 안목을 기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하여 교육평가 분야의 최근 이슈에서부터 다양한 맥락에서 실시되고 있는 교육평가의 유형별 특징, 신뢰도와 타당도, 문항 제작 및 분석이론, 수행평가 등에 관해 학습할 것이다. 또한 본 강좌에서는 학생들이 강좌를 통하여 습득한 지식과 기술을 실제 맥락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이론과 실습을 병행하여 진행한다. 특히 학생중심평가와 과정중심평가에 초점을 두고, 평가제작 과정에 대한 이론과 실습을 집중적으로 진행할 예정이다. 그리고 교육학 전공자로서, 다양한 교육적 이슈에 대해 의견을 교환할 수 있는 토론과 글쓰기도 병행한다. 이를 통해서 학교현장이나 관련된 분야에서 교육평가의 전문가로서의 실제적 능력을 함양할 수 있다.

  • English

    This course aims to learn the concept of education evaluation in various educational contexts and to develop knowledge and insights that can be applied in the actual educational field. For this, students learn various theories in the field of evaluation and measurement, includ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of education evaluation, reliability and validity, and item development, analytic theory, performance evaluation, etc. In addition, this course combines theory and practice so that students can apply the knowledge and skills acquired through the course in a practical context. In particular, it will focus on student-centered and process-based assessments, and will focus on theory and practice on the assessment production process. Also, as an pedagogical major, there is also discussion and writing to exchange opinions on various educational issues.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cultivate practical ability as an expert in education evaluation in the school field or related fields.

닫기
3/2학기 전선 4274128
교육정책론 (Educational Policy)
  • 학년/학기 : 3/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74128
  • 교과목명 : 교육정책론 (Educational Policy)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교육정책은 공론화 과정을 거쳐 의제화된 교육문제 대한 공적인 해결책이다. 학생들은 교육정책의 형성, 집행, 평가와 환류 등 일련의 과정을 학습한다. 이를 토대로 우리나라 교육정책의 목표와 내용, 문제점과 쟁점, 향후 개선방안을 논의할 수 있는 기초능력을 키운다.  

    • English

      Educational policy is a public solution to the agenda-driven educational problem. Students learn a series of processes, including the formation, execution, evaluation and feedback of educational policies. Based on this, we will develop the basic ability to discuss the goals and contents of Korean education policies, problems and issues, and future improvement plan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교육정책은 공론화 과정을 거쳐 의제화된 교육문제 대한 공적인 해결책이다. 학생들은 교육정책의 형성, 집행, 평가와 환류 등 일련의 과정을 학습한다. 이를 토대로 우리나라 교육정책의 목표와 내용, 문제점과 쟁점, 향후 개선방안을 논의할 수 있는 기초능력을 키운다.  

  • English

    Educational policy is a public solution to the agenda-driven educational problem. Students learn a series of processes, including the formation, execution, evaluation and feedback of educational policies. Based on this, we will develop the basic ability to discuss the goals and contents of Korean education policies, problems and issues, and future improvement plans. 

닫기
3/2학기 전선 4274138
교육조직과리더십 (Educational Organization and Leadership)
  • 학년/학기 : 3/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74138
  • 교과목명 : 교육조직과리더십 (Educational Organization and Leadership)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교육조직은 교육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다양한 교육주체들이 모여서 교육활동을 진행하는 단위이다. 수강생들은 교육조직으로서 학교의 특성과, 학교가 효과적으로 작동하는 데 교장의 리더십이 중요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나아가 교육조직의 구성원으로서 자신의 리더십을 개발하기 위하여 다양한 사례 중심 활동을 진행한다.  

    • English

      The educational organization is a unit that conducts educational activities by gathering various educational subjects to achieve educational goals. Students can understand the nature of the school as an educational organization and the principal's leadership is important to the effective operation of the school. Furthermore, as a member of the educational organization, various case-oriented activities are conducted to develop their leadership.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교육조직은 교육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다양한 교육주체들이 모여서 교육활동을 진행하는 단위이다. 수강생들은 교육조직으로서 학교의 특성과, 학교가 효과적으로 작동하는 데 교장의 리더십이 중요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나아가 교육조직의 구성원으로서 자신의 리더십을 개발하기 위하여 다양한 사례 중심 활동을 진행한다.  

  • English

    The educational organization is a unit that conducts educational activities by gathering various educational subjects to achieve educational goals. Students can understand the nature of the school as an educational organization and the principal's leadership is important to the effective operation of the school. Furthermore, as a member of the educational organization, various case-oriented activities are conducted to develop their leadership. 

닫기
3/2학기 전선 4274143
청소년정신건강과상담 (Mental Health Counseling for Adolescents )
  • 학년/학기 : 3/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74143
  • 교과목명 : 청소년정신건강과상담 (Mental Health Counseling for Adolescents )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본 과목은 청소년들이 경험할 수 있는 정신건강 문제와 정신장애의 종류를 알아보고 그에 대한 치료적 개입방안을 학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수업에서 학생들은 다양한 정신장애의 진단기준과 특징, 치료방안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청소년 정신건강 문제에 대한 개입역량을 키울 수 있다.

    • English

      The purpose of this course is to investigate the types of mental health problems and mental disorders that adolescents may experience, and to learn therapeutic interventions for them. In this class, students can develop their ability to intervene in adolescent mental health problems based on their understanding of diagnostic criteria, characteristics, and treatment methods of mental disorder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본 과목은 청소년들이 경험할 수 있는 정신건강 문제와 정신장애의 종류를 알아보고 그에 대한 치료적 개입방안을 학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수업에서 학생들은 다양한 정신장애의 진단기준과 특징, 치료방안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청소년 정신건강 문제에 대한 개입역량을 키울 수 있다.

  • English

    The purpose of this course is to investigate the types of mental health problems and mental disorders that adolescents may experience, and to learn therapeutic interventions for them. In this class, students can develop their ability to intervene in adolescent mental health problems based on their understanding of diagnostic criteria, characteristics, and treatment methods of mental disorders.

닫기
3/2학기 전선 4274149
인간관계의이론과실제 (Theory and Practice of Human Relations)
  • 학년/학기 : 3/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74149
  • 교과목명 : 인간관계의이론과실제 (Theory and Practice of Human Relations)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본 강좌는 대학생들의 대인관계 능력을 함양하기 위해 인간관계와 관련된 심리학적인 지식을 습득하고 이를 자신에게 적용하여 자신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실제 인간관계의 개선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서 본 강좌는 강의 전반부에서는 인간관계 심리학에 대한 지식과 기술의 습득을 다루고 강의 후반부에서는 학습한 내용을 바탕으로 대인관계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집단상담 활동에 참여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이를 통해서 학생들은 원만한 대인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하는 데 필요한 사회적 기술을 향상할 수 있다.

    • English

      This course aims to increase understanding about themselves and improve their actual human relations by acquiring of psychological knowledge related to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applying it to oneself. This course is comprised of two part. The first part focuses on understanding of interpersonal psychological knowledge and skills. The second part is designed to participate in group counseling in order to improve interpersonal abilities by applying the acquired knowledge in simulated situation. This helps students develop the social skills they need to build and maintain healthy relationship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본 강좌는 대학생들의 대인관계 능력을 함양하기 위해 인간관계와 관련된 심리학적인 지식을 습득하고 이를 자신에게 적용하여 자신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실제 인간관계의 개선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서 본 강좌는 강의 전반부에서는 인간관계 심리학에 대한 지식과 기술의 습득을 다루고 강의 후반부에서는 학습한 내용을 바탕으로 대인관계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집단상담 활동에 참여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이를 통해서 학생들은 원만한 대인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하는 데 필요한 사회적 기술을 향상할 수 있다.

  • English

    This course aims to increase understanding about themselves and improve their actual human relations by acquiring of psychological knowledge related to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applying it to oneself. This course is comprised of two part. The first part focuses on understanding of interpersonal psychological knowledge and skills. The second part is designed to participate in group counseling in order to improve interpersonal abilities by applying the acquired knowledge in simulated situation. This helps students develop the social skills they need to build and maintain healthy relationships.

닫기
3/2학기 전선 4274992
직업선택과꿈-설계 (Career Choice and Development)
  • 학년/학기 : 3/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74992
  • 교과목명 : 직업선택과꿈-설계 (Career Choice and Development)
  • 학점-강의-실습(설계) : 1-1-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전공 관련하여 진로를 탐색하는 코스이다.

    • English

      "What career is right for me?" The course makes a critical assessment of the implications employing the general question to the particular matter of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Education.

    닫기
1 1 0 상세보기
  • 국문

    전공 관련하여 진로를 탐색하는 코스이다.

  • English

    "What career is right for me?" The course makes a critical assessment of the implications employing the general question to the particular matter of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Education.

닫기
4/1학기 전선 4274071
평생교육실습 (Life-long Education Site Practice)
  • 학년/학기 : 4/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74071
  • 교과목명 : 평생교육실습 (Life-long Education Site Practice)
  • 학점-강의-실습(설계) : 3-1-4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평생교육 현장에서의 4주간의 실습을 통해 평생교육사 양성과정에서 학습한 이론과 원리를 적용하는 방법을 알아본다.

    • English

      We will learn how to apply theories and principles learned in the lifelong education teacher training course through four weeks of practical training.

    닫기
3 1 4 상세보기
  • 국문

    평생교육 현장에서의 4주간의 실습을 통해 평생교육사 양성과정에서 학습한 이론과 원리를 적용하는 방법을 알아본다.

  • English

    We will learn how to apply theories and principles learned in the lifelong education teacher training course through four weeks of practical training.

닫기
4/1학기 전필 4274077
교육학논리및논술 (Logic and Discourse in Education)
  • 학년/학기 : 4/1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274077
  • 교과목명 : 교육학논리및논술 (Logic and Discourse in Education)
  • 학점-강의-실습(설계) : 2-2-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교육학논리및논술"은 교육 현상과 실천에 관한 여러 학문적 논의를 종합적으로 이해하여 주어진 논제와 문제사태에 대한 자신의 주장을 체계적이고 설득력있게 제시하는 논리적 사고와 종합적 이해능력 배양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교육학의 교과교육영역에 해당하므로 이 강좌에서 습득한 능력을 수업실행능력으로 구사할 수 있도록 돕는다.

    • English

      Logic and Discourse in Education aims to cultivate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educational phenomena and practices, and to develop logical thinking and presenting one's own arguments on given issues and problems. In addition, it corresponds to the curriculum area of pedagogy, so that the skills acquired in this course can be used as class teaching ability.

    닫기
2 2 0 상세보기
  • 국문

    "교육학논리및논술"은 교육 현상과 실천에 관한 여러 학문적 논의를 종합적으로 이해하여 주어진 논제와 문제사태에 대한 자신의 주장을 체계적이고 설득력있게 제시하는 논리적 사고와 종합적 이해능력 배양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교육학의 교과교육영역에 해당하므로 이 강좌에서 습득한 능력을 수업실행능력으로 구사할 수 있도록 돕는다.

  • English

    Logic and Discourse in Education aims to cultivate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educational phenomena and practices, and to develop logical thinking and presenting one's own arguments on given issues and problems. In addition, it corresponds to the curriculum area of pedagogy, so that the skills acquired in this course can be used as class teaching ability.

닫기
4/1학기 전선 4274107
교육조사방법론 (Educational Research Methodology)
  • 학년/학기 : 4/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74107
  • 교과목명 : 교육조사방법론 (Educational Research Methodology)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본 강좌에서는 교육현상을 이해하기 위한 다양한 교육조사방법들의 이론을 습득하고 실제 연구주제에 대한 조사를 수행함으로써 이를 실제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하여 강의 전반부에는 다양한 교육조사방법의 이론을 학습하고, 이후 개별적인 연구주제를 바탕으로 실제 연구를 수행하는 실습을 병행한다. 실제연구에는 연구주제의 수립, 선행연구 분석, 조사도구 개발, 자료 수집, 자료 분석 및 결과 보고 등을 포함한다. 이를 통해 사회 각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는 교육조사방법의 이론과 실제능력을 함양한다.

    • English

      This course aims to acquire the theory of various educational research methods to understand educational phenomena and to develop the ability to apply them by conducting research on actual research topics. To this end, the first half of the lectures will learn the theory of various educational research methods, and then practice to conduct actual research based on individual research topics. Practical research includes establishing research topics, analyzing prior research, developing research tools, collecting data, analyzing data and reporting results. Through this, theories and practical skills of educational research methods used in various fields of society are cultivated.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본 강좌에서는 교육현상을 이해하기 위한 다양한 교육조사방법들의 이론을 습득하고 실제 연구주제에 대한 조사를 수행함으로써 이를 실제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하여 강의 전반부에는 다양한 교육조사방법의 이론을 학습하고, 이후 개별적인 연구주제를 바탕으로 실제 연구를 수행하는 실습을 병행한다. 실제연구에는 연구주제의 수립, 선행연구 분석, 조사도구 개발, 자료 수집, 자료 분석 및 결과 보고 등을 포함한다. 이를 통해 사회 각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는 교육조사방법의 이론과 실제능력을 함양한다.

  • English

    This course aims to acquire the theory of various educational research methods to understand educational phenomena and to develop the ability to apply them by conducting research on actual research topics. To this end, the first half of the lectures will learn the theory of various educational research methods, and then practice to conduct actual research based on individual research topics. Practical research includes establishing research topics, analyzing prior research, developing research tools, collecting data, analyzing data and reporting results. Through this, theories and practical skills of educational research methods used in various fields of society are cultivated.

닫기
4/1학기 전선 4274119
사회심리학과교육 (Social Psychology and Education)
  • 학년/학기 : 4/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74119
  • 교과목명 : 사회심리학과교육 (Social Psychology and Education)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이 강좌는 사회심리학의 원리와 연구결과들을 교육문제에 적용하기 위한 것이다. 사회십리학은 인간의 사고와 정서 그리고 행동이 타인에 의해 어떻게 영향을 받는지를 연구하는 분야이기 때문에 예비교사들이 사회적 과정인 교육의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들을 효과적으로 다루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 English

      This course uses principles and findings of social psychology to the educational issues. Since social psychology is the scientific study of how people's thoughts, feelings, and behaviors are influenced by the actual, imagined or implied presence of others, it helps teachers to deal with various issues occured in the process of education as a social proces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이 강좌는 사회심리학의 원리와 연구결과들을 교육문제에 적용하기 위한 것이다. 사회십리학은 인간의 사고와 정서 그리고 행동이 타인에 의해 어떻게 영향을 받는지를 연구하는 분야이기 때문에 예비교사들이 사회적 과정인 교육의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들을 효과적으로 다루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 English

    This course uses principles and findings of social psychology to the educational issues. Since social psychology is the scientific study of how people's thoughts, feelings, and behaviors are influenced by the actual, imagined or implied presence of others, it helps teachers to deal with various issues occured in the process of education as a social process.

닫기
4/1학기 전선 4274142
원격교육과학급관리 (Distance Education and Classroom Management)
  • 학년/학기 : 4/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74142
  • 교과목명 : 원격교육과학급관리 (Distance Education and Classroom Management)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이 교과목은, 담임교사로서 원격교육 상황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학급을 관리 운영하는 데 필요한 이론을 배우며, 이를 토대로 효과적으로 학급을 관리하는 실천역량을 키우는 것을 목표로 한다. 원격교육 장면에서 학생들의 학습 환경을 이해하고, 학급경영기법을 토대로 효과적인 원격교육 지원체제를 구성하며, 학급경영 실무 장면에 이를 적용하여 학생 및 학부모와 소통하는 연간 학급경영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 English

      This course, as a homeroom teacher, aims to understand distance education contexts, learn the theories necessary to manage and operate classes, and build practical skills based on them. Students can understand students' learning environments and class management techniques, form an effective distance education support system, and establish an annual class management plan by applying it to the practical scene of class management.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이 교과목은, 담임교사로서 원격교육 상황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학급을 관리 운영하는 데 필요한 이론을 배우며, 이를 토대로 효과적으로 학급을 관리하는 실천역량을 키우는 것을 목표로 한다. 원격교육 장면에서 학생들의 학습 환경을 이해하고, 학급경영기법을 토대로 효과적인 원격교육 지원체제를 구성하며, 학급경영 실무 장면에 이를 적용하여 학생 및 학부모와 소통하는 연간 학급경영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 English

    This course, as a homeroom teacher, aims to understand distance education contexts, learn the theories necessary to manage and operate classes, and build practical skills based on them. Students can understand students' learning environments and class management techniques, form an effective distance education support system, and establish an annual class management plan by applying it to the practical scene of class management.

닫기
4/1학기 전선 4274145
진로교육및상담 (Career Education and Counseling)
  • 학년/학기 : 4/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74145
  • 교과목명 : 진로교육및상담 (Career Education and Counseling)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본 수업은 진로교육과 상담에 대한 이론적 지식을 바탕으로 진로교육과 상담 실제를 운영할 수 있는 체험적 지식을 함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진로 발달은 아동기에서부터 시작해서 다양한 인생의 여러 단계에 걸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본 강좌는 생애진로 관점에서 진로발달을 살펴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진로발달과 상담의 역사, 진로발달 이론, 그리고 진로 상담 실제에 대해 학습한다. 본 강좌 후 학생들은 진로발달 이론에 근거하여 개인의 진로발달 이해를 위한 전문적 지식을 적절하게 적용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 English

      This course is designed to provide students with a foundational understanding of various theories of career development, common methods of career assessment, and the process of career counseling? and education.? As career development is an on-going process that begins in early childhood and continues through various phases and in different forms into the latter stages of life, this course will utilize a lifespan perspective.? In the course, students will learn career counseling practice, career development theories, and history of career education and counseling. Students will be expected to apply the special knowledge to understand personal career trajectorie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본 수업은 진로교육과 상담에 대한 이론적 지식을 바탕으로 진로교육과 상담 실제를 운영할 수 있는 체험적 지식을 함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진로 발달은 아동기에서부터 시작해서 다양한 인생의 여러 단계에 걸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본 강좌는 생애진로 관점에서 진로발달을 살펴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진로발달과 상담의 역사, 진로발달 이론, 그리고 진로 상담 실제에 대해 학습한다. 본 강좌 후 학생들은 진로발달 이론에 근거하여 개인의 진로발달 이해를 위한 전문적 지식을 적절하게 적용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 English

    This course is designed to provide students with a foundational understanding of various theories of career development, common methods of career assessment, and the process of career counseling? and education.? As career development is an on-going process that begins in early childhood and continues through various phases and in different forms into the latter stages of life, this course will utilize a lifespan perspective.? In the course, students will learn career counseling practice, career development theories, and history of career education and counseling. Students will be expected to apply the special knowledge to understand personal career trajectories.

닫기
4/2학기 전선 4274109
교육행정학세미나 (Seminar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 학년/학기 : 4/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74109
  • 교과목명 : 교육행정학세미나 (Seminar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교육학과 4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행정학 분야의 심화과목이다. 교육행정학 원론에서 다루는 제이론 영역을 보다 심도있게 고찰함으로써, 교육행정 이론과 현상간의 연계성 강화, 교육행정학의 현장 실천력 증진, 교육행정가의 역할과 직무에 대한 이해 증진 등을 토대로 현장 적용력을 키운다. 

    • English

      This is an advanced course in the field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for 4th grade students. Students can understand to strengthen the linkage between theory and phenomena in education administration, enhance the field practice of education administration,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the role and duties of education administrators. In addition to they can apply the theory of pedagogy covered in the theory of education administration.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교육학과 4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행정학 분야의 심화과목이다. 교육행정학 원론에서 다루는 제이론 영역을 보다 심도있게 고찰함으로써, 교육행정 이론과 현상간의 연계성 강화, 교육행정학의 현장 실천력 증진, 교육행정가의 역할과 직무에 대한 이해 증진 등을 토대로 현장 적용력을 키운다. 

  • English

    This is an advanced course in the field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for 4th grade students. Students can understand to strengthen the linkage between theory and phenomena in education administration, enhance the field practice of education administration,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the role and duties of education administrators. In addition to they can apply the theory of pedagogy covered in the theory of education administration. 

닫기
4/2학기 전선 4274117
교육복지프로그램평가론 (Evaluation of Educational Welfare Program)
  • 학년/학기 : 4/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74117
  • 교과목명 : 교육복지프로그램평가론 (Evaluation of Educational Welfare Program)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본 강의에서는 교육복지프로그램의 개념과 운영 현황 등에 대해 알아보고, 교육복지 프로그램의 평가의 이론과 실제에 대해 공부한다. 강의 전반부에서는 교육복지프로그램의 정의와 필요성, 종류 등을 리뷰하고, 관련 복지프로그램을 방문한다. 후반부에서는 교육복지프로그램 평가를 위한 이론적인 기초를 학습하고, 실제로 교육복지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평가지표를 개발하는 실습을 병행한다. 이를 통해 교육복지 전문가로서 다양한 교육복지프로그램의 효과를 평가할 수 있는 역량을 기른다.

    • English

      In this lecture, the concept and operation status of education welfare program will be examined and the theory and practice of education welfare program evaluation will be studied. The first half of the lecture reviews the definition, necessity, and types of educational welfare programs and visits related welfare programs. In the latter part, students learn the theoretical basis for evaluating educational welfare programs and practice developing evaluation indicators for educational welfare programs. Through this, as an education welfare specialist, students will be able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various educational welfare program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본 강의에서는 교육복지프로그램의 개념과 운영 현황 등에 대해 알아보고, 교육복지 프로그램의 평가의 이론과 실제에 대해 공부한다. 강의 전반부에서는 교육복지프로그램의 정의와 필요성, 종류 등을 리뷰하고, 관련 복지프로그램을 방문한다. 후반부에서는 교육복지프로그램 평가를 위한 이론적인 기초를 학습하고, 실제로 교육복지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평가지표를 개발하는 실습을 병행한다. 이를 통해 교육복지 전문가로서 다양한 교육복지프로그램의 효과를 평가할 수 있는 역량을 기른다.

  • English

    In this lecture, the concept and operation status of education welfare program will be examined and the theory and practice of education welfare program evaluation will be studied. The first half of the lecture reviews the definition, necessity, and types of educational welfare programs and visits related welfare programs. In the latter part, students learn the theoretical basis for evaluating educational welfare programs and practice developing evaluation indicators for educational welfare programs. Through this, as an education welfare specialist, students will be able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various educational welfare programs.

닫기
4/2학기 전선 4274123
기업교육론 (Corporate Education)
  • 학년/학기 : 4/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74123
  • 교과목명 : 기업교육론 (Corporate Education)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학생들이 산업 현장에서 교육전문가로서 활동하기 위한 자질을 개발하기 위해 기업교육의 동향을 이해하고 기업교육 분야에서 논의되는 주요 주제를 이해한다.

    • English

      Students will understand the trends of corporate education and learn the main topics discussed in the field of corporate education in order to develop the qualifications for them to act as educational experts in the industrial field.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학생들이 산업 현장에서 교육전문가로서 활동하기 위한 자질을 개발하기 위해 기업교육의 동향을 이해하고 기업교육 분야에서 논의되는 주요 주제를 이해한다.

  • English

    Students will understand the trends of corporate education and learn the main topics discussed in the field of corporate education in order to develop the qualifications for them to act as educational experts in the industrial field.

닫기
4/2학기 전선 4274144
교육학통합사례연습 (Pedagogical Integration Case Practice)
  • 학년/학기 : 4/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74144
  • 교과목명 : 교육학통합사례연습 (Pedagogical Integration Case Practice)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본 교과에서 학생들은 교육학 세부 전공의 지식과 실천을 현장 전문성의 관점에서 통합하는 연습을 한다. 학교현장의 교사, 교육정책결정자로서 교육학의 제반지식을 통합하여 교육의 이론과 실제에서 제기되고 있는 문제들을 분석하고 종합하여 해결책을 제시한다.

    • English

      In this course, students practice integrating the knowledge and practice of pedagogical specific majors from the perspective of field expertise. Students, as teachers and educational policy makers in the future, integrate all knowledge of pedagogy to analyze and synthesize problems raised in the theory and practice of education and propose solution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본 교과에서 학생들은 교육학 세부 전공의 지식과 실천을 현장 전문성의 관점에서 통합하는 연습을 한다. 학교현장의 교사, 교육정책결정자로서 교육학의 제반지식을 통합하여 교육의 이론과 실제에서 제기되고 있는 문제들을 분석하고 종합하여 해결책을 제시한다.

  • English

    In this course, students practice integrating the knowledge and practice of pedagogical specific majors from the perspective of field expertise. Students, as teachers and educational policy makers in the future, integrate all knowledge of pedagogy to analyze and synthesize problems raised in the theory and practice of education and propose solutions.

닫기
4/2학기 전선 4274148
교육과정탐구 (Curriculum Inquiry)
  • 학년/학기 : 4/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274148
  • 교과목명 : 교육과정탐구 (Curriculum Inquiry)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교육과정 분야의 심화 코스로서 교육과정을 탐구하는 다양한 방법을 공부한다. 교육과정 연구 간학문적 특성을 고려해 다양한 학제적 접근을 시도한다. 특히 1970년대 이후 등장한 재개념화의 관점에서 교육과정을 탐구하는 다양한 가능성을 살펴본다.

    • English

      As an in-depth course in the field of curriculum, various methods of exploring the curriculum are studied. In particular, it attempts to examine some interdisciplinary curriculum research from the perspective of reconceptualization that has emerged since the 1970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교육과정 분야의 심화 코스로서 교육과정을 탐구하는 다양한 방법을 공부한다. 교육과정 연구 간학문적 특성을 고려해 다양한 학제적 접근을 시도한다. 특히 1970년대 이후 등장한 재개념화의 관점에서 교육과정을 탐구하는 다양한 가능성을 살펴본다.

  • English

    As an in-depth course in the field of curriculum, various methods of exploring the curriculum are studied. In particular, it attempts to examine some interdisciplinary curriculum research from the perspective of reconceptualization that has emerged since the 1970s.

닫기
  • 국문

  • English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