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사안내

편성교과목

교과 과정 검색 조건
교과과정
학년/학기 이수구분 교과목번호 교과목명 학점 강의 실습(설계) 교과목개요
0/전학기 균형 1210119
교양한문 (Literary Chinese for College Education)
  • 학년/학기 : 0/전학기
  • 이수구분 : 균형
  • 교과목번호 : 1210119
  • 교과목명 : 교양한문 (Literary Chinese for College Education)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이 강좌는 한자에 대한 이해력과 어휘력을 향상하고 한문 고전 문장의 의미를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자의 생성원리와 특징을 살펴봄으로써 한자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일상생활에서 자주 쓰는 한자 및 한자성어의 음과 뜻을 학습한다. 한문 고전에 담긴 동양의 지혜를 살펴보고 함께 토론한다. 학생은 한자에 대한 이해력과 어휘력을 높여 일상생활에서 활용할 수 있다. 학생은 한문 고전에 담긴 뜻을 음미하고 나눔으로써 건강한 정서와 인성을 함양하고 창의적인 사고력을 배양할 수 있다.

    • English

      The purpose is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and vocabulary of Chinese characters and to explore the meaning of classical Chinese sentences. By looking at the creation principles and characteristics of a Chinese character, you can improve your understanding of Chinese character and learn Chinese character and meanings of Chinese character and Chinese character used frequently in everyday life. Examine and discuss the wisdom of the orient contained in the Chinese classics. Students can improve their understanding and vocabulary of Chinese characters and use them in their daily lives. Students can cultivate healthy emotions and personality and cultivate creative thinking skills by savoring and sharing the meaning contained in the Chinese classic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이 강좌는 한자에 대한 이해력과 어휘력을 향상하고 한문 고전 문장의 의미를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자의 생성원리와 특징을 살펴봄으로써 한자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일상생활에서 자주 쓰는 한자 및 한자성어의 음과 뜻을 학습한다. 한문 고전에 담긴 동양의 지혜를 살펴보고 함께 토론한다. 학생은 한자에 대한 이해력과 어휘력을 높여 일상생활에서 활용할 수 있다. 학생은 한문 고전에 담긴 뜻을 음미하고 나눔으로써 건강한 정서와 인성을 함양하고 창의적인 사고력을 배양할 수 있다.

  • English

    The purpose is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and vocabulary of Chinese characters and to explore the meaning of classical Chinese sentences. By looking at the creation principles and characteristics of a Chinese character, you can improve your understanding of Chinese character and learn Chinese character and meanings of Chinese character and Chinese character used frequently in everyday life. Examine and discuss the wisdom of the orient contained in the Chinese classics. Students can improve their understanding and vocabulary of Chinese characters and use them in their daily lives. Students can cultivate healthy emotions and personality and cultivate creative thinking skills by savoring and sharing the meaning contained in the Chinese classics.

닫기
0/전학기 균형 1210120
한국의역사와문화 (Korean History and Culture)
  • 학년/학기 : 0/전학기
  • 이수구분 : 균형
  • 교과목번호 : 1210120
  • 교과목명 : 한국의역사와문화 (Korean History and Culture)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한국사를 개론적으로 살펴보는 동시에 보다 열린 시각에서 바라보기 위해 쟁점이 되고 있는 주제들을 살펴본다. 이를 통해 한국사를 바라보는 시각을 다양하게 넓히고, 올바른 역사인식을 함양한다. 특히 다양한 주제들을 접함으로써 한국사에 대한 관심을 가지게 하며, 역사적 사건이나 사회, 논쟁, 인물 등에 대한 비판적 사고 및 의식을 기른다. 특히 이 과목은 SDGs(지속가능발전목표) 교육과 관련하여 한국의 역사와 문화 등을 종합적으로 고찰함을 목적(지역학)으로 하고 있다.

    • English

      At the same time as looking at Korean history in an introductory way, it examines the issues at issue in order to look at it from a more open perspective. Through this, various perspectives on Korean history are broadened and correct historical awareness is cultivated. In particular, it develops interest in Korean history by encountering a variety of topics, and cultivates critical thinking and consciousness on historical events, societies, debates, and characters. In particular, this course aims to comprehensively examine the history and culture of Korea in relation to SDGs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education (regional epidemiology).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한국사를 개론적으로 살펴보는 동시에 보다 열린 시각에서 바라보기 위해 쟁점이 되고 있는 주제들을 살펴본다. 이를 통해 한국사를 바라보는 시각을 다양하게 넓히고, 올바른 역사인식을 함양한다. 특히 다양한 주제들을 접함으로써 한국사에 대한 관심을 가지게 하며, 역사적 사건이나 사회, 논쟁, 인물 등에 대한 비판적 사고 및 의식을 기른다. 특히 이 과목은 SDGs(지속가능발전목표) 교육과 관련하여 한국의 역사와 문화 등을 종합적으로 고찰함을 목적(지역학)으로 하고 있다.

  • English

    At the same time as looking at Korean history in an introductory way, it examines the issues at issue in order to look at it from a more open perspective. Through this, various perspectives on Korean history are broadened and correct historical awareness is cultivated. In particular, it develops interest in Korean history by encountering a variety of topics, and cultivates critical thinking and consciousness on historical events, societies, debates, and characters. In particular, this course aims to comprehensively examine the history and culture of Korea in relation to SDGs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education (regional epidemiology).

닫기
0/전학기 균형 1210121
한국근현대사의이해 (Understanding of Korean Modern-Contemporary History)
  • 학년/학기 : 0/전학기
  • 이수구분 : 균형
  • 교과목번호 : 1210121
  • 교과목명 : 한국근현대사의이해 (Understanding of Korean Modern-Contemporary History)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우리의 삶과 문화에 가까운 한국 근현대사를 살펴봄으로써 현재의 사회와 문화를 이해하고자 노력한다. 1876년 개항을 전후한 시기부터 한국전쟁과 분단체제의 고착, 산업화와 민주화에 이르기까지 한국근현대사를 개괄적으로 살펴보는 동시에 역사적 사건과 사회, 문화, 인물 등에 대한 비판적 사고와 의식을 향상시킨다. 이를 통해 근현대 한국 사회의 특성을 역사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특히 이 과목은 SDGs(지속가능발전목표) 교육과 관련하여 한국근현대사를 종합적으로 고찰하는 것을 목적(지역학)으로 하고 있다.

    • English

      Try to understand the current society and culture by examining the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of Korea that is close to our life and culture. This course provides an overview of the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of Korea, from the period before and after the port opening in 1876, to the Korean War, the fixation of the division system, industrialization and democratization, while improving critical thinking and awareness on historical events, society, culture, and people. Through this,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n society can be historically understood. In particular, this course aims to comprehensively examine the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of Korea in relation to SDGs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education (regional epidemiology).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우리의 삶과 문화에 가까운 한국 근현대사를 살펴봄으로써 현재의 사회와 문화를 이해하고자 노력한다. 1876년 개항을 전후한 시기부터 한국전쟁과 분단체제의 고착, 산업화와 민주화에 이르기까지 한국근현대사를 개괄적으로 살펴보는 동시에 역사적 사건과 사회, 문화, 인물 등에 대한 비판적 사고와 의식을 향상시킨다. 이를 통해 근현대 한국 사회의 특성을 역사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특히 이 과목은 SDGs(지속가능발전목표) 교육과 관련하여 한국근현대사를 종합적으로 고찰하는 것을 목적(지역학)으로 하고 있다.

  • English

    Try to understand the current society and culture by examining the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of Korea that is close to our life and culture. This course provides an overview of the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of Korea, from the period before and after the port opening in 1876, to the Korean War, the fixation of the division system, industrialization and democratization, while improving critical thinking and awareness on historical events, society, culture, and people. Through this,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n society can be historically understood. In particular, this course aims to comprehensively examine the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of Korea in relation to SDGs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education (regional epidemiology).

닫기
0/전학기 균형 1210122
동서문화교류사 (History of The Cultural Relations Between the East and the West)
  • 학년/학기 : 0/전학기
  • 이수구분 : 균형
  • 교과목번호 : 1210122
  • 교과목명 : 동서문화교류사 (History of The Cultural Relations Between the East and the West)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이 교과목을 통해 역사는 정체된 것이 아니라 끊임없는 상호 교류와 접변의 결과물로서 형성되었음을 배우도록 한다. 동양과 서양이 각각의 지역에 국한되어 독립적으로 발전해 나간 것이 아니라 고대로부터 현대까지 끊임없이 교류와 충돌을 지속해 오면서 서로 영향을 주고 받았다는 것을 배운다. 그리고 그 교류가 각 지역의 역사를 과거에서 현재로, 현재에서 미래로 나아가게 만드는 작용을 하였음을 확인한다. 또한 동서양의 대표적인 문화 형태 및 역사 현상들의 교류 흔적을 살펴봄으로써 과거의 역사 현상이 오늘날의 세계를 구축하는데 어떤 상관관계를 갖는지도 조명해 본다. 이를 통해 앞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우선 제대로 돌아보기를 먼저 해야 한다는 역사 인식을 함양시키고자 한다.

    • English

      Through this course, students learn that history is not static, but is formed as a result of continuous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Students learn that the East and West did not develop independently in each region, but influenced and influenced each other through constant exchanges and conflicts from ancient times to the present. And it is confirmed that the results of such influences acted to move the history of each region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and from the present to the future. Also, by examining the traces of exchanges between the representative cultural forms and historical phenomena of the East and the Wes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istorical phenomena of the past and the construction of today's world is also shed light on. Through this class, students are encouraged to develop the historical awareness that in order to move forward, they must first look back.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이 교과목을 통해 역사는 정체된 것이 아니라 끊임없는 상호 교류와 접변의 결과물로서 형성되었음을 배우도록 한다. 동양과 서양이 각각의 지역에 국한되어 독립적으로 발전해 나간 것이 아니라 고대로부터 현대까지 끊임없이 교류와 충돌을 지속해 오면서 서로 영향을 주고 받았다는 것을 배운다. 그리고 그 교류가 각 지역의 역사를 과거에서 현재로, 현재에서 미래로 나아가게 만드는 작용을 하였음을 확인한다. 또한 동서양의 대표적인 문화 형태 및 역사 현상들의 교류 흔적을 살펴봄으로써 과거의 역사 현상이 오늘날의 세계를 구축하는데 어떤 상관관계를 갖는지도 조명해 본다. 이를 통해 앞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우선 제대로 돌아보기를 먼저 해야 한다는 역사 인식을 함양시키고자 한다.

  • English

    Through this course, students learn that history is not static, but is formed as a result of continuous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Students learn that the East and West did not develop independently in each region, but influenced and influenced each other through constant exchanges and conflicts from ancient times to the present. And it is confirmed that the results of such influences acted to move the history of each region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and from the present to the future. Also, by examining the traces of exchanges between the representative cultural forms and historical phenomena of the East and the Wes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istorical phenomena of the past and the construction of today's world is also shed light on. Through this class, students are encouraged to develop the historical awareness that in order to move forward, they must first look back.

닫기
0/전학기 균형 1220078
생활법률 (Law in Life)
  • 학년/학기 : 0/전학기
  • 이수구분 : 균형
  • 교과목번호 : 1220078
  • 교과목명 : 생활법률 (Law in Life)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이 강좌에서는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흔히 겪을 수 있는 법적 문제들을 사례를 중심으로 쉽고 재미있게 설명하여, 일반인이 법을 편히한 생활도구처럼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한 안내가 되고자 한다. 즉 법이 우리의 생활 속에 살아 숨쉬고 있다는 인식을 심어 주는 실용적인 법교육을 주된 내용으로 한다.

    • English

      IN this lecture, I will try to explain the legal problems that we often encounter in our everyday live easily and funly, focusing on case studies, so that everyone can use the law ad a useful life tool. In other words, the main content is the practical law education that instills the awareness that the law is alive in our live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이 강좌에서는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흔히 겪을 수 있는 법적 문제들을 사례를 중심으로 쉽고 재미있게 설명하여, 일반인이 법을 편히한 생활도구처럼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한 안내가 되고자 한다. 즉 법이 우리의 생활 속에 살아 숨쉬고 있다는 인식을 심어 주는 실용적인 법교육을 주된 내용으로 한다.

  • English

    IN this lecture, I will try to explain the legal problems that we often encounter in our everyday live easily and funly, focusing on case studies, so that everyone can use the law ad a useful life tool. In other words, the main content is the practical law education that instills the awareness that the law is alive in our lives.

닫기
0/전학기 균형 1220080
심리학의이해 (Introductiory Psychology)
  • 학년/학기 : 0/전학기
  • 이수구분 : 균형
  • 교과목번호 : 1220080
  • 교과목명 : 심리학의이해 (Introductiory Psychology)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본 과목은 인간이 사회속에서 살아가는 데 필요한 기초적인 심리학 지식을 습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과목을 통해 수강생은 인간의 정보처리, 의사결정, 정서, 대인관계, 수행, 직업과 스트레스, 이상심리 등 기초적인 심리학 지식을 배우고 이를 자신의 생활에 적용해보도록 한다.

    • English

      This course will introduce you to the fundamental principles of psychology and to the major subjects of psychological inquiry. It has been designed to not only provide you with the tools necessary for the study of psychology but to present you with a sampling of the major areas of psychology research. We will focus on well-substantiated research and current trends within each of these categorie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본 과목은 인간이 사회속에서 살아가는 데 필요한 기초적인 심리학 지식을 습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과목을 통해 수강생은 인간의 정보처리, 의사결정, 정서, 대인관계, 수행, 직업과 스트레스, 이상심리 등 기초적인 심리학 지식을 배우고 이를 자신의 생활에 적용해보도록 한다.

  • English

    This course will introduce you to the fundamental principles of psychology and to the major subjects of psychological inquiry. It has been designed to not only provide you with the tools necessary for the study of psychology but to present you with a sampling of the major areas of psychology research. We will focus on well-substantiated research and current trends within each of these categories.

닫기
0/전학기 균형 1220082
성과사회 (Gender and Society)
  • 학년/학기 : 0/전학기
  • 이수구분 : 균형
  • 교과목번호 : 1220082
  • 교과목명 : 성과사회 (Gender and Society)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 여성/남성들의 다양한 삶과 경험을 살펴보면서 우리 사회에서 '여성/남성 되기'의 의미, '여성/남성 만들기'의 과정 및 그것과 관련된 사회적 기제를 탐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한국 사회 구조 내에서 나타나는 젠더 문제의 현상, 원인 및 구조에 대해 학습함으로써 여성과 남성이 더불어 자유롭고 평등한 삶을 영위할 수 있는 실천 양식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 English

      This course focuses on the social construction of gender. Special attention will be paid to how gender is constructed at the level of society as well as how we engage in the re-creation and construction of gender in our everyday lives. Gender will be explored as an institution and a system as well as how it influences individuals. Throughout the course we will examine current gender issues that highlight the importance of gender, using these examples to illustrate key concepts and theories. The main goal of this class is to help you gain a better understanding of gender and its effects, how it pervades all parts of our culture and lives, and also begin to discuss the way of pursuing equal lives among men and women.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 여성/남성들의 다양한 삶과 경험을 살펴보면서 우리 사회에서 '여성/남성 되기'의 의미, '여성/남성 만들기'의 과정 및 그것과 관련된 사회적 기제를 탐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한국 사회 구조 내에서 나타나는 젠더 문제의 현상, 원인 및 구조에 대해 학습함으로써 여성과 남성이 더불어 자유롭고 평등한 삶을 영위할 수 있는 실천 양식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 English

    This course focuses on the social construction of gender. Special attention will be paid to how gender is constructed at the level of society as well as how we engage in the re-creation and construction of gender in our everyday lives. Gender will be explored as an institution and a system as well as how it influences individuals. Throughout the course we will examine current gender issues that highlight the importance of gender, using these examples to illustrate key concepts and theories. The main goal of this class is to help you gain a better understanding of gender and its effects, how it pervades all parts of our culture and lives, and also begin to discuss the way of pursuing equal lives among men and women.

닫기
0/전학기 균형 1220111
영화로보는법과사회 (law and society learning through film)
  • 학년/학기 : 0/전학기
  • 이수구분 : 균형
  • 교과목번호 : 1220111
  • 교과목명 : 영화로보는법과사회 (law and society learning through film)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흔히 문학을 포함한 예술 작품을 시대적 ‘텍스트’라고 부른다. 하지만 법이 한 시대의 ‘공적 텍스트’라는 지극히 자명한 사실을 유념하는 사람은 드물다. 문학 작품이 한 시대와 사회의 소산이라면, 그 속에는 반드시 그 시대의 공적 텍스트가 투영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요즘 세대는 문자 중심의 이성 체계보다 ‘영상’을 통해 세상을 ‘배우는’ 세대이다. 이에 본 강좌는 주변에서 비교적 쉽게 접할 수 있는 영화 속에서 인권(법)과 관련된 부분을 찾아 소개하고 함께 생각해 봄으로써, 어렵고 따분하게 느껴지는 법학이론을 ‘영화’라는 매개체를 통해 쉽게 학습하게 하고자 한다. 즉, 일상 속에서 무심코 지나쳤던 법적 요소를 영화 속에서 찾고, 이에 법학 이론을 적용시키며 상호 토론 및 발표를 통해 작품에 투영된 시대와 그 시대의 법적 가치를 이해하고자 한다.

    • English

      We call works of art, including literature, ‘texts’ of the times. However, few people keep in mind the extremely self-evident fact that law is the ‘public text’ of an era. If a literary work is a product of an era and society, the public text of that era is necessarily reflected in it. However, today’s generation is one that ‘learns’ about the world through ‘videos’ rather than a text-centered rational system. Accordingly, this course aims to make it easier to learn legal theories that are difficult and boring through the medium of ‘film’ by finding, introducing, and thinking about parts related to human rights (law) in movies that are relatively easily accessible around us. In other words, we seek to find legal elements in movies that we inadvertently pass by in daily life, apply legal theory to them, and understand the era reflected in the work and its legal values through mutual discussion and presentation.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흔히 문학을 포함한 예술 작품을 시대적 ‘텍스트’라고 부른다. 하지만 법이 한 시대의 ‘공적 텍스트’라는 지극히 자명한 사실을 유념하는 사람은 드물다. 문학 작품이 한 시대와 사회의 소산이라면, 그 속에는 반드시 그 시대의 공적 텍스트가 투영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요즘 세대는 문자 중심의 이성 체계보다 ‘영상’을 통해 세상을 ‘배우는’ 세대이다. 이에 본 강좌는 주변에서 비교적 쉽게 접할 수 있는 영화 속에서 인권(법)과 관련된 부분을 찾아 소개하고 함께 생각해 봄으로써, 어렵고 따분하게 느껴지는 법학이론을 ‘영화’라는 매개체를 통해 쉽게 학습하게 하고자 한다. 즉, 일상 속에서 무심코 지나쳤던 법적 요소를 영화 속에서 찾고, 이에 법학 이론을 적용시키며 상호 토론 및 발표를 통해 작품에 투영된 시대와 그 시대의 법적 가치를 이해하고자 한다.

  • English

    We call works of art, including literature, ‘texts’ of the times. However, few people keep in mind the extremely self-evident fact that law is the ‘public text’ of an era. If a literary work is a product of an era and society, the public text of that era is necessarily reflected in it. However, today’s generation is one that ‘learns’ about the world through ‘videos’ rather than a text-centered rational system. Accordingly, this course aims to make it easier to learn legal theories that are difficult and boring through the medium of ‘film’ by finding, introducing, and thinking about parts related to human rights (law) in movies that are relatively easily accessible around us. In other words, we seek to find legal elements in movies that we inadvertently pass by in daily life, apply legal theory to them, and understand the era reflected in the work and its legal values through mutual discussion and presentation.

닫기
0/전학기 균형 1230067
통계로세상보기 (See World through Statistics)
  • 학년/학기 : 0/전학기
  • 이수구분 : 균형
  • 교과목번호 : 1230067
  • 교과목명 : 통계로세상보기 (See World through Statistics)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일상에서 접하는 자료에 관한 통계 기반의 이해 및 분석방법의 학습을 목표로 한다. 각종 미디어에서 제공되는 통계관련 내용을 현실감 있게 다루며, 각종 통계 관련 자료나 정보들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는 기본 소양 함양을 돕고, 데이터의 수집, 그래프와 그 활용, 평균과 산포에 대한 의미와 해석에 대한 내용을 학습한다. 따라서 본 교과목 이수를 통해 생활 속 다양한 자료를 수리적으로 수집, 정리, 분석하는 능력을 함양한다.

    • English

      This course aims to learn statistics-based understanding and analysis methods for data encountered in everyday life. This course covers statistics related contents provided by various media, and helps cultivate basic literacy to understand and use various statistics related data and information correctly. This course covers data collection, graphs and their use, and the meaning and interpretation of the mean and variance. Therefore, through the completion of this course, students can develop the ability to collect, organize, and analyze various data in daily life.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일상에서 접하는 자료에 관한 통계 기반의 이해 및 분석방법의 학습을 목표로 한다. 각종 미디어에서 제공되는 통계관련 내용을 현실감 있게 다루며, 각종 통계 관련 자료나 정보들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는 기본 소양 함양을 돕고, 데이터의 수집, 그래프와 그 활용, 평균과 산포에 대한 의미와 해석에 대한 내용을 학습한다. 따라서 본 교과목 이수를 통해 생활 속 다양한 자료를 수리적으로 수집, 정리, 분석하는 능력을 함양한다.

  • English

    This course aims to learn statistics-based understanding and analysis methods for data encountered in everyday life. This course covers statistics related contents provided by various media, and helps cultivate basic literacy to understand and use various statistics related data and information correctly. This course covers data collection, graphs and their use, and the meaning and interpretation of the mean and variance. Therefore, through the completion of this course, students can develop the ability to collect, organize, and analyze various data in daily life.

닫기
0/전학기 균형 1230069
웹과인터넷활용및실습 (Web and Internet : Applications and Practice)
  • 학년/학기 : 0/전학기
  • 이수구분 : 균형
  • 교과목번호 : 1230069
  • 교과목명 : 웹과인터넷활용및실습 (Web and Internet : Applications and Practice)
  • 학점-강의-실습(설계) : 3-2-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정보화 사회에서 자주 접하는 WWW와 인터넷을 이해하고 스스로 자기 개발하여자력으로 웹 상에서의 필요한 자료관리와 처리를 할 수 있도록 기초적인 원리와 방법 및 실제를 위주로 강의하고 실습을 연계하여 진행한다.

    • English

      In order to understand the WWW and the Internet frequently encountered in the information society and to self-development and to manage and process the necessary data on the web by itself, lectures will be conducted based on basic principles, methods, and practices.

    닫기
3 2 2 상세보기
  • 국문

    정보화 사회에서 자주 접하는 WWW와 인터넷을 이해하고 스스로 자기 개발하여자력으로 웹 상에서의 필요한 자료관리와 처리를 할 수 있도록 기초적인 원리와 방법 및 실제를 위주로 강의하고 실습을 연계하여 진행한다.

  • English

    In order to understand the WWW and the Internet frequently encountered in the information society and to self-development and to manage and process the necessary data on the web by itself, lectures will be conducted based on basic principles, methods, and practices.

닫기
0/전학기 균형 1230071
생활속의수학 (Mathematics in Real Life)
  • 학년/학기 : 0/전학기
  • 이수구분 : 균형
  • 교과목번호 : 1230071
  • 교과목명 : 생활속의수학 (Mathematics in Real Life)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생활 속 현상 및 문제에 관한 수리적 관점에서의 이해 및 분석방법의 학습을 목표로 한다. 이 강의에서 학생들은 수학적 도구에 대한 이론과 원리를 습득한다. 그리고 일상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상황을 설정하여 이를 해결하기 위해 수학적 도구를 사용하는 방법을 배운다. 학생들은 본 교과목의 이수를 통해 생활 속 다양한 문제를 수리적으로 분석 및 해결하는 능력을 함양한다.

    • English

      The subject aims to learn the mathematical methods of understanding and analyzing our lives. In this lecture, students acquire the theories and principles of various mathematical tools. They also learn how to use these tools to set up and solve the various situations that occur in our life. Therefore, the ability to understand and analyze various problems in life is improved through the course.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생활 속 현상 및 문제에 관한 수리적 관점에서의 이해 및 분석방법의 학습을 목표로 한다. 이 강의에서 학생들은 수학적 도구에 대한 이론과 원리를 습득한다. 그리고 일상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상황을 설정하여 이를 해결하기 위해 수학적 도구를 사용하는 방법을 배운다. 학생들은 본 교과목의 이수를 통해 생활 속 다양한 문제를 수리적으로 분석 및 해결하는 능력을 함양한다.

  • English

    The subject aims to learn the mathematical methods of understanding and analyzing our lives. In this lecture, students acquire the theories and principles of various mathematical tools. They also learn how to use these tools to set up and solve the various situations that occur in our life. Therefore, the ability to understand and analyze various problems in life is improved through the course.

닫기
0/전학기 학문 1410122
융합적사고와상상력 (Convergent thinking and imagination)
  • 학년/학기 : 0/전학기
  • 이수구분 : 학문
  • 교과목번호 : 1410122
  • 교과목명 : 융합적사고와상상력 (Convergent thinking and imagination)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21세기는 동시적이고 복합적인 활동을 할 수 있는 디지털 혁명의 시대로 기술 융합뿐 아니라 지식도 융합하는 학문적 전환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대처하기 위해 인문과 자연의 융합적 사고를 바탕으로 한 자기 설계 전공에서 비판적 사고 능력과 문제해결력을 갖추는 일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본 강좌는 21세기 융복합 사회의 다양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창의성과 상상력을 가진 자기 설계적 인재 양성을 목적으로 한다.

    • English

      The 21st century is an era of digital revolution, and studies that not only converge technology but also knowledge are emerging. This course seeks to cultivate creativity and imagination to solve various problems in the 21st century convergence society.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21세기는 동시적이고 복합적인 활동을 할 수 있는 디지털 혁명의 시대로 기술 융합뿐 아니라 지식도 융합하는 학문적 전환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대처하기 위해 인문과 자연의 융합적 사고를 바탕으로 한 자기 설계 전공에서 비판적 사고 능력과 문제해결력을 갖추는 일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본 강좌는 21세기 융복합 사회의 다양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창의성과 상상력을 가진 자기 설계적 인재 양성을 목적으로 한다.

  • English

    The 21st century is an era of digital revolution, and studies that not only converge technology but also knowledge are emerging. This course seeks to cultivate creativity and imagination to solve various problems in the 21st century convergence society.

닫기
1/1학기 전선 3501991
진로탐색과꿈-설계 (Career Planning)
  • 학년/학기 : 1/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3501991
  • 교과목명 : 진로탐색과꿈-설계 (Career Planning)
  • 학점-강의-실습(설계) : 1-1-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이 과목은 전공선택 및 진로선택에 정보를 주기위해 진행하는 교과목입니다. 자신의 적성을 바탕으로 전공을 선택하고, 진로목표를 탐색하여 본인의 진로를 설계한다. 수업을 들은 학생들은 본인의 적성을 고려하여 진로를 명확하게 설계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할 수 있다.

    • English

      The aim of this course is to give information for selection of major and job. Students can design his/her future job based on his/her major. Students in the class can develop their ability to clearly design their careers in consideration of their aptitude.

    닫기
1 1 0 상세보기
  • 국문

    이 과목은 전공선택 및 진로선택에 정보를 주기위해 진행하는 교과목입니다. 자신의 적성을 바탕으로 전공을 선택하고, 진로목표를 탐색하여 본인의 진로를 설계한다. 수업을 들은 학생들은 본인의 적성을 고려하여 진로를 명확하게 설계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할 수 있다.

  • English

    The aim of this course is to give information for selection of major and job. Students can design his/her future job based on his/her major. Students in the class can develop their ability to clearly design their careers in consideration of their aptitude.

닫기
1/2학기 전필 3501010
전공설계 (Major Design)
  • 학년/학기 : 1/2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3501010
  • 교과목명 : 전공설계 (Major Design)
  • 학점-강의-실습(설계) : 1-1-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진로 목표를 설정하고, 전공 선택의 방향성을 설계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수업을 통해 다양한 전공과 도전 가능성을 제시하고 삶의 비전을 설계할 수 있도록 한다.

    • English

      The purpose is to help set career goals and design the direction of major selection. Through this class, various majors and challenges can be presented and a vision for life can be designed.

    닫기
1 1 0 상세보기
  • 국문

    진로 목표를 설정하고, 전공 선택의 방향성을 설계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수업을 통해 다양한 전공과 도전 가능성을 제시하고 삶의 비전을 설계할 수 있도록 한다.

  • English

    The purpose is to help set career goals and design the direction of major selection. Through this class, various majors and challenges can be presented and a vision for life can be designed.

닫기
2/1학기 전필 3501011
주제탐구세미나1 (Selected Topics Seminar1)
  • 학년/학기 : 2/1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3501011
  • 교과목명 : 주제탐구세미나1 (Selected Topics Seminar1)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자유전공학부의 장점 중 하나는 급변하는 시대에 맞춰 자신의 전공을 설계할 수 있다는 점이다. 본 교과는 학습자가 자기 주도적으로 사회의 변화를 인지하고, 다른 학습자와의 토론을 통해, 자신만의 전공을 구상할 수 있는 탐구 기회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English

      One of the advantages of the Department of Free Electronics is that you can design your major according to the rapidly changing era. This subject aims to provide an opportunity for learners to self-directedly recognize changes in society and to devise their own majors through discussions with other learner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자유전공학부의 장점 중 하나는 급변하는 시대에 맞춰 자신의 전공을 설계할 수 있다는 점이다. 본 교과는 학습자가 자기 주도적으로 사회의 변화를 인지하고, 다른 학습자와의 토론을 통해, 자신만의 전공을 구상할 수 있는 탐구 기회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English

    One of the advantages of the Department of Free Electronics is that you can design your major according to the rapidly changing era. This subject aims to provide an opportunity for learners to self-directedly recognize changes in society and to devise their own majors through discussions with other learners.

닫기
2/2학기 전선 3501012
창의적문제해결방법론 (Creative Problem Solving Methodology)
  • 학년/학기 : 2/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3501012
  • 교과목명 : 창의적문제해결방법론 (Creative Problem Solving Methodology)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창의적이며 비판적인 사고는 숙련된 의사소통 및 의사결정을 통한 성공적 문제해결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중요한 능력이자 덕목이다. 이는 또한 민주사회의 일원으로서, 전문직 진입을 꾀하는 학생으로서, 또는 일상적 삶을 살아가는 개인으로서, 반드시 갖추어야 할 자질이기도하다. 이런 중요한 능력이자 덕목인 비판적-창의적사고(critico-creative thinking)를 향상시키는 것이 이 강의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 문제해결에 대한 기본적 이해와 창의적, 비판적, 배려적 사고로 구성된 고차적 사고를 배운다. 그리고 이에 바탕해서 단계별로 자신의 문제를 던지고 푸는 방법을 배우고 다양한 논증들(arguments)을 분석, 이해, 평가하는 기술을 습득한다.

    • English

      reative and critical thinking is an important skill and virtue that is essential for successful problem solving through skillful communication and decision making. This is also a quality that must be possessed as a member of a democratic society, as a student seeking to enter the profession, or as an individual living a daily life. The purpose of this lecture is to improve this important ability and virtue, critical-creative thinking. To this end, students learn basic understanding of problem solving and higher-order thinking consisting of creative, critical, and considerate thinking. And based on this, learn how to throw and solve your own problems step by step and acquire skills to analyze, understand, and evaluate various argument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창의적이며 비판적인 사고는 숙련된 의사소통 및 의사결정을 통한 성공적 문제해결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중요한 능력이자 덕목이다. 이는 또한 민주사회의 일원으로서, 전문직 진입을 꾀하는 학생으로서, 또는 일상적 삶을 살아가는 개인으로서, 반드시 갖추어야 할 자질이기도하다. 이런 중요한 능력이자 덕목인 비판적-창의적사고(critico-creative thinking)를 향상시키는 것이 이 강의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 문제해결에 대한 기본적 이해와 창의적, 비판적, 배려적 사고로 구성된 고차적 사고를 배운다. 그리고 이에 바탕해서 단계별로 자신의 문제를 던지고 푸는 방법을 배우고 다양한 논증들(arguments)을 분석, 이해, 평가하는 기술을 습득한다.

  • English

    reative and critical thinking is an important skill and virtue that is essential for successful problem solving through skillful communication and decision making. This is also a quality that must be possessed as a member of a democratic society, as a student seeking to enter the profession, or as an individual living a daily life. The purpose of this lecture is to improve this important ability and virtue, critical-creative thinking. To this end, students learn basic understanding of problem solving and higher-order thinking consisting of creative, critical, and considerate thinking. And based on this, learn how to throw and solve your own problems step by step and acquire skills to analyze, understand, and evaluate various arguments.

닫기
3/2학기 전선 3501019
취업·창업과꿈-설계 (Career Choice and Startup)
  • 학년/학기 : 3/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3501019
  • 교과목명 : 취업·창업과꿈-설계 (Career Choice and Startup)
  • 학점-강의-실습(설계) : 1-1-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취업·창업과 꿈-설계는 내가 선택한 전공 안에서 진로에 대한 고민과 탐색을 진행하는 교과목입니다. 자신의 적성과 흥미를 바탕으로 전공을 이해하고, 전공 관련 직업을 탐색·설정·준비하는 전체 과정을 다룹니다.

    • English

      Career Choice and Startup provides a change of sharing about concerns about career path within each major and exploring. This course covers the entire process of understanding, exploring, establishing, preparing career path within each major based on their aptitude and interests.

    닫기
1 1 0 상세보기
  • 국문

    취업·창업과 꿈-설계는 내가 선택한 전공 안에서 진로에 대한 고민과 탐색을 진행하는 교과목입니다. 자신의 적성과 흥미를 바탕으로 전공을 이해하고, 전공 관련 직업을 탐색·설정·준비하는 전체 과정을 다룹니다.

  • English

    Career Choice and Startup provides a change of sharing about concerns about career path within each major and exploring. This course covers the entire process of understanding, exploring, establishing, preparing career path within each major based on their aptitude and interests.

닫기
  • 국문

  • English

닫기